ⓒ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정책금융기관, 5대 금융지주가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 수출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총 108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추진한다. 5대 정책금융기관은 내년까지 예정된 약 172조원 지원 계획 중 올해 8월까지 63조원을 집행했고, 5대 금융지주도 연초부터 45조원을 공급했다.

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美관세대응 정책금융-금융지주 간담회‘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금융지원이 단순 생존 지원을 넘어 기업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 동력 발굴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철강, 자동차, 석유화학 등 관세 피해가 큰 전통 수출산업과, 중소·중견기업의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 및 해외시장 다변화 지원이 집중적으로 추진된다.

정책금융기관별로는 한국산업은행 14조1,000억원, 기업은행 11조7,000억원, 신용보증기금 12조8,000억원, 수출입은행 9조9,000억원, 기술보증기금 14조5,000억원 등 이미 8월까지 63조원을 집행했다. 금융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 36조3,000억원 ▲수출다변화 33조3,000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 91조5,000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 11조원 등으로 구체화된다.

5대 금융지주는 2026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할 계획으로, 금리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 다양한 상품을 마련했다. 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농협금융 등 지주사들은 관세 피해 기업에 대한 R&D 투자, 판로 다변화, 맞춤형 금융 지원과 비금융 컨설팅까지 포함한 포괄적 지원을 약속했다.

김병칠 금융감독원 부원장은 금융권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일선 현장의 애로사항 발굴과 해결을 위해 중소기업 애로상담센터를 적극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B·신한·하나·우리·농협금융지주 등 주요 금융지주가 미국발 관세 충격에 대응해 기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권 부위원장은 “관세지원은 단순 수치보다 절박한 피해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금융권에 책임 있는 지원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