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지난달 우리금융그룹에 편입된 동양생명이 금융당국으로부터 1,500억원대 과징금을 부과받게 될 위기에 놓였다. 이번 조치는 2022년 동양생명이 자회사형 법인보험대리점(GA)에 고객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제공한 행위가 적발된 데 따른 것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제재심의위원회를 열고 동양생명에 약 1,5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의결했다. 신용정보법상 고객 동의 없이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할 경우 매출액의 3% 이내에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다. 지난해 동양생명의 수입보험료 기준 3%는 약 1,425억원이다. 이번 제재에는 추가 위반 사항도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동양생명의 올해 상반기 실적도 크게 부진했다. 당기순이익은 868억원으로 전년 동기(1,641억원) 대비 47.1% 감소했고, 2분기 당기순이익은 400억원으로 52.7% 줄었다. 투자손익 적자와 일부 보험손익 증가에도 상반기 전체 실적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번 과징금과 실적 부진은 우리금융그룹에도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우리금융은 올해 초 경영실태평가에서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 부문에서 ‘미흡’ 판정을 받아 당국의 관리를 받아왔다. 자회사 M&A 시 사전검토 부족, 리스크 한도 관리 미흡, 반복적 부당대출 관리 부진 등을 지적했고, 이에 따라 동양생명과 ABL생명 편입 승인 조건으로 내부통제 개선계획 이행을 부대조건으로 명시했다.
우리금융은 2027년 말까지 반기별로 개선계획 이행 여부를 보고해야 한다. 동양생명의 과징금이 확정되면 애초 예상보다 많은 자본 확충이 필요하고 M&A로 인한 염가매수차익도 감소할 수 있다.
보험업계에서는 이번 제재가 영업 관행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 다수의 자회사형 GA가 원수사로부터 고객 DB를 제공받아 영업했으며, 이 과정에서 제3자 제공 동의 여부는 큰 문제로 지적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고객 DB 의존도가 높은 중·소형 GA는 타격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신한라이프와 라이나생명도 같은 혐의로 조사와 제재 수위 결정이 남아 있으며, 동일 기준이 적용될 경우 과징금 규모는 각각 2,100억원과 960억원으로 예상된다.
- 교육세 2배 증세에 금융권 ‘난색’…반대의견 모아 정부측에 전달
- 금융당국, 인프라펀드 회계기준 완화…‘생산적 금융’ 참여 유도
- “카뱅 게 섰거라”…‘모임통장’ 선두 추격 나선 금융권
- 코로나19 성실상환자 신용사면…324만명 연체기록 삭제
- 금감원, 금융사 책무구조도 현장점검…CEO 내부통제 주시
- 4대 그룹 총수, 25일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동행
- 롯데손해보험, 2Q 당기순익 362억…전년比 55.2%↑
- 한국씨티은행, 2Q 순익 1007억…전년比 1.1%↓
- 박정원 두산 회장, 상반기 총수 연봉킹…보수 163억
- 캐롯, 모바일앱 가입자 100만명 돌파
- 롯데손해보험, 2000원짜리 ‘제주 갈 땐 보험’ 출시
- 현대해상, 사이버보험 가입 고객 모의 해킹 서비스 제공
- 교보생명, 사내벤처 4기 출범
- 미래에셋생명, 상반기 세전손익 1021억…전년比 51.3%↑
- Sh수협은행,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내년부터 테러범 소유 법인 금융거래 제한…시행령 국무회의 통과
- ‘알뜰폰·휴대폰 소액결제’ 채무조정 범위 포함…서민금융 재원 다변화
- 주담대 변동금리 내려간다…코픽스 10개월 연속 하락
- 웰컴금융그룹, 랜섬웨어 해킹으로 내부정보 유출
- KB라이프, ‘KB 5.10.5 딱좋은 플러스 건강보험’ 출시
- 부산은행-한국학원총연합회, 부산 지역 학원 동반성장 ‘맞손’
- 금감원, 불법추심 근절 위해 대부업·채권추심업체 일제검사 착수
- 금융위, 사망보험금 유동화 10월부터 본격 도입
- 금융당국, 가상자산 대여서비스 신규 영업 중단 행정지도
- 라이나생명, ‘서류ZERO청구서비스’ 2차 캠페인 전개
- 라이나생명, 무배당 ‘새로담는건강보험플러스’ 출시
- ABL생명, 자립준비청년 100명 정착 지원...기부금 3억 전달
- 라이나생명, 환자 돌봄 가족 1박2일 재충전 기회 제공
- 보험GA협회, '준법감시인협의회 워크숍'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