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21일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진행한 '석유화학 사업재편 금융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이 21일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진행한 '석유화학 사업재편 금융권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정부가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금융권과 머리를 맞댔다. 기업이 뼈를 깎는 자구노력을 전제로 금융권도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원칙을 세운 것이다.

금융위원회는 21일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석유화학 사업재편 금융권 간담회’를 열고 5대 시중은행과 정책금융기관, 금융감독원, 신용평가사, 컨설팅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 현황과 구조조정 방향을 공유했다.

이번 회의는 전날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와 ‘석유화학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 체결의 후속 조치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석유화학은 국가 기간산업으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분야지만 더 이상 수술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며 “철저한 자구노력·고통 분담·신속한 실행을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금융권은 냉철한 심판자이자 조력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해야 한다”며 “사업재편 계획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기존 여신 회수 등 ‘비 올 때 우산을 빼앗는 행위’는 자제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회의에서 NICE신용평가는 석유화학산업 현황과 이슈를 점검했고, BCG컨설팅은 업계 자율컨설팅을 토대로 구조조정 방향을 제시했다. 은행연합회는 금융권 공동협약 추진방향을 설명했다.

금융권은 기업과 대주주의 책임 있는 자구노력을 전제로 사업재편 계획의 타당성이 확보될 경우 채권금융기관 공동협약을 통해 금융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협약 신청 기업에 대해서는 기존 여신 유지를 원칙으로 하되, 구체적인 지원 수준은 기업과 채권금융기관 간 협의를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금융위는 이번 논의를 토대로 은행과 정책금융기관이 참여하는 금융권 공동협약을 신속히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권 부위원장은 “석유화학 산업의 성공적인 재편은 기업의 의지와 금융권의 협력이 맞물릴 때 가능하다”며 “정부도 양측이 신뢰 속에서 협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