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롯데카드는 해킹 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객 정보가 유출돼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는 고객 28만명 중 19만명에 대해 카드 재발급 신청,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 보호 조치를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롯데카드는 지난 9월 18일 고객정보가 유출된 297만명에게 개별 안내 메시지를 발송했고, 부정사용 가능성이 있는 28만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안내 문자와 안내 전화를 병행하며 ‘카드 재발급’ 조치를 최우선으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9월 19일에는 고객정보가 유출되지 않은 일반 고객에게도 미유출 안내 메시지를 발송했다.
9월 1일부터 23일 오후 6시까지 집계된 현황에 따르면, 전체 유출 고객 297만명 중 카드 재발급 신청은 약 65만명, 비밀번호 변경 약 82만명, 카드 정지 약 11만명, 카드 해지 약 4만명으로 나타났다. 중복을 제외하면 전체 유출 고객의 43%인 128만명에 대한 보호조치가 시행됐다. 회원 탈회 건수는 전체 1만5,949건 중 2,277건이 진행됐다.
특히 28만명 대상 고객의 경우 68% 수준인 약 19만명에 대해 카드 재발급 신청, 비밀번호 변경, 카드 정지 및 해지 등의 조치가 완료됐다.
롯데카드는 아직 보호조치가 시행되지 않은 고객에게도 추가 안내 전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카드 재발급에 필요한 공카드 물량 확보와 하루 최대 발급량 확대 운영을 통해 추석 연휴 전까지 고객 28만명에 대한 보호조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회사 측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부정사용 사례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일부 피싱이나 해외 부정결제 사례가 이번 사고와 연결돼 언급되는 경우가 있으나, 현재까지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한 부정사용 시도나 실제 소비자 피해 사례는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롯데카드 측은 “피해 사례 접수 시 즉시 대금청구를 중지하고 자체 검증 후 결과를 안내하며, 고객에게 부정사용 입증 책임을 전가하지 않는다”며 “이번 사고로 발생한 피해와 고객정보 유출로 인한 2차 피해가 연관성이 확인될 경우에도 전액 배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병원장·금융사 전직 임원이 한패”…천억대 주가조작 엘리트들 ‘패가망신’
- 권대영 “금융사 최고경영진이 직접 보안 책임…“미비 시 엄정 제재”
- 李 으름장에…‘소비자 보호’ 재정립 나선 금융지주
- ‘롯데카드 해킹’ 선 긋는 MBK…“5년간 6천억 투자했다”
- “나도 롯데카드 쓰는데”… 해킹 여부 이렇게 확인해야
-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 “재발급 100만명 밀려…주말까지 해소”
- 김승주 교수 “사이버 보안, 탐지·방어·무력화 3축 체제 구축해야”
- SGI서울보증, 주거취약계층 화재 피해주택 리모델링 지원
- “여성 건강 2배 든든하게”… 교보생명, ‘더블업 여성건강보험’ 출시
- 금감원, 부적격 유사투자자문업자 105곳 직권말소
- 금감원, 신설 사모운용사 CEO 대상 설명회 개최
- “부동산 PF 연착륙…부실 사업장 정리·재구조화 속도”
- 기재부, 10월 개인투자용 국채 1400억원 발행
- “돈 벌어 이자도 못 내는 기업 17%”… 14년 만에 최고치
- 롯데카드, 3분기 누적 순익 1084억…전년比 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