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사베이
ⓒ픽사베이

1~3분기 10대 건설사 정비사업 수주액 11조5000억원…전년비 절반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올해 건설사들이 지난해보다 다소 저조한 정비사업 수주실적을 보였다. 9월말 현재 10대 건설사의 정비사업 수주금액은 약 11조5,100억원이다. 3분기를 넘겼지만 지난해 상반기(20조520억원)의 절반 수준이다. 

4일 각 사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개 건설사 중 가장 많은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을 기록한 곳은 포스코이앤씨다. 포스코이앤씨는 총 12건, 3조4,423억원을 수주하며 1위를 달리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1월 방배 신동아아파트 재건축(3,746억원)·평촌 초원세경아파트 리모델링(2,446억원), 2월 신당제8구역 주택재개발(3,746억원)·해운대 상록아파트 리모델링사업(3,889억원)을 따냈다. 이어 4월 대전 도마·변동 2구역 재개발 (1,639억원), 5월 평촌 롯데3차 아파트 리모델링(2,517억원)·평촌 현대4차 아파트 리모델링(2,623억원), 6월 송파 거여4단지 리모델링(2,538억원), 7월 부천 상동 한아름 현대아파트 리모델링(5,491억원)·부산 부민2구역 재개발(1,959억원), 9월 광진구 중곡아파트 공공재건축(1,276억원), 경기도 시흥 목감2 재개발(2,553억원)을 수주했다.

현대건설이 총 1조5,803억원을 수주하며 2위를 기록했다. 올해 1월 일산 강선마을14단지 리모델링(3,423억원)·부산 괴정7구역 재개발(2,433억원, 40%), 2월 구미 형곡4주공 재건축(2,236억원), 4월 울산중구B-4 재개발(7,710억원, 50%) 등 4곳을 따냈다.

GS건설이 총 1조4,488억원, 4건을 수주하며 현대건설의 뒤를 이었다. 올해 1월 상계주공 5단지(3,342억원), 2월 안산 선부연립1구역 재건축(2,945억원)·청량리6구역 재건축(4,869억원), 7월 대전 삼성5구역 재개발(3,332억원)을 수주했다.

삼성물산은 올해 총 1조4,140억원을 수주하며 4위를 차지했다. 올해 2월 가락상아2차리모델링(3,753억원)을 시작으로 4월 울산중구B-04재개발(7,710억원, 50%), 7월 가락쌍용2차리모델링(2,677억원) 등 3곳 사업지를 수주했다.

DL이앤씨는 1조1,824억원을 수주하며 톱5에 들었다. 1월 강북5구역 공공재개발(3,151억원), 3월 광명3동 LH참여형 가로주택정비(1,611억원), 6월 시흥은행1구역 재개발(1,661억원), 7월 중동5구역 재개발(5,401억원) 등이다.  

대우건설이 총 8,353억원을 수주하며 6위를 기록했다. 대우건설은 올해 7월 양천구 신정4구역 재건축(5,922억원), 9월 구로동440번지 재건축(2,431억원)을 수주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총 8,250억원, 2건을 수주하며 7위를 기록했다. 안양 평촌 초원2단지 대림아파트 리모델링(4,687억원)과 부산 부민2구역 재개발(1,630억원, 45%)을 수주했다.

이어 SK에코플랜트는 올해 7,219억원을 수주하며 8위에 올랐다. 1월 부산괴정7구역(6,084억원, 60%), 4월 대전도마변동(3,644억원, 55%)·용산이촌우성아파트 재건축(1,565억원)을 수주했다.  

롯데건설은 올해 5월 청량리 제8구역 재개발(1,752억원), 9월 잠실미성크로바아파트 재건축(3,421억원) 등 2개 사업(총 5,173억원)을 수주했다. 호반건설은 올해 정비사업 수주가 없다. 

업계에서는 올해 남은 대형 재건축·재개발 사업지 입찰이 남았어도 정비사업 수주가 크게 늘진 못할 것으로 보고있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경쟁보다는 안정적으로 우선협상대상자에 선정, 수의 계약 체결하는 '클린수주'라는 명목도 있겠지만 가장 큰 영향은 공사비 인상으로 인한 분양수익 감소"라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수도권 사업지라도 각각 수익성 편차가 큰 데다 분양가가 올랐지만 이 또한 오른 자재 비용이 반영된 금액이어서 건설사 수익이 늘긴 어렵다"며 "분양을 통해 정비사업 조합원과 건설사 모두 이익을 볼 수 있어야 하는 데 건설사에 돌아오는 몫이 적어졌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건설사 관계자는 "하반기 대어라고 불리는 일부 수도권 정비사업지가 있으나 사업성이 확보되는 사업지 수가 제한적인데다 입찰에 참여해 시공권을 확보하는 건설사는 일부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업계 실적이 개선되긴 어렵다"고 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