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국내 금값이 일주일 만에 10% 가까이 급락하며 국제 금값과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피가 4,000선을 돌파하며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되살아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국제 시세 대비 높았던 국내 금값,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도 사라졌다.
28일 한국금거래소에 따르면 일반 금(1㎏) 시세는 전날 g당 18만9,170원으로, 일주일 전 21만원과 비교해 9.9% 떨어졌다. 미니금(100g) 역시 같은 기간 22만2,300원에서 19만4,500원으로 12.5% 하락했다. 이에 따라 일반 금 ‘김치 프리미엄’은 8.9%에서 0.7%로, 미니금은 15.3%에서 3.5%로 급감했다.
금값 약세는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에도 영향을 미쳤다. ACE KRX금현물(-9.92%), TIGER KRX금현물(-9.50%), KODEX 금액티브(-5.84%) 등 주요 금 ETF가 일주일 새 5~10% 하락하며 투자자금이 빠져나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금값 급락을 위험자산 선호 심리 전환의 결과로 해석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둔화와 금리 인하 기대, 미·중 정상회담에 따른 낙관론이 코스피를 4,000선까지 끌어올리면서 금 수요를 위축시켰다는 것이다.
실제 국제 금값도 약세를 보였다. 27일(현지시간) 국제 금 현물가격은 장중 온스당 3,970달러까지 떨어지며 4,000달러 선이 무너졌다. 지난 20일 사상 최고치(4,381달러) 대비 9% 이상 하락한 수준이다. 세계금협회(WGC)는 이번 조정을 “과열된 상승세가 진정되는 정상화 과정”으로 평가했고, 영국 캐피털이코노믹스는 내년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500달러로 낮췄다.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하락을 단기 투기세력의 포지션 청산과 과열된 랠리에 대한 정상화 과정으로 보고 있다. WGC 존 리드 시장전략가는 “더 큰 폭의 조정이 오히려 건강한 시장 안정화”라고 평가했다.
장기적 전망은 여전히 긍정적이다. HSBC, 뱅크오브아메리카, 소시에테제네랄 등 주요 글로벌 은행들은 내년 금값이 온스당 5,0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LBMA 루스 크로웰 CEO는 “금은 여전히 주요 자산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번 조정은 일시적 현상일 뿐 새로운 국면의 시작”이라고 강조했다.
- 새마을금고중앙회, 제20대 회장선거 입후보 안내설명회 개최
- 하나생명, 3분기 순이익 177억원…전년比 26.3%↓
- 하나카드, 3분기 순이익 598억원…전년比 11.8%↓
- 하나증권, 3분기 영업이익 654억원…전년比 87%↑
- 하나은행, 3분기 누적 순익 3조1333억원…전년比 12.7%↑
- 하나금융, 3분기 순익 1조1324억원…“1500억원 자사주 매입·소각”
- 보험업계 “해약환급금준비금 부담 커, 배당 못 해”…당국 판단은?
- 신한캐피탈, 3분기 순이익 280억… 전년比 39.7% 감소
- 신한라이프, 3분기 순이익 1702억… 주식시장 호조에 전년比 10%↑
- 신한카드, 3분기 순이익 1338억… 전년比 31.2% 감소
- 신한은행, 3분기 순이익 1조892억… 전년 동기比 8.2% 증가
- 신한투자증권, 3분기 영업익 1441억원...전년比 42.7%↑
- 이억원 “금융서비스 멈추면 일상 흔들려”…코스콤 전산센터 재난대응 훈련
- ‘핀테크×AI’ 결합한 미래 금융 축제…‘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 11월 26일 개막
- 신한금융, 3분기 순익 1조4235억원…전년比 9.8%↑
- 이억원, 금융의 날 맞아 “신뢰·생산·포용적 금융 대전환 필요”
- JB금융, 3분기 순익 2,083억…사상 최대
- 권대영 “무늬만 생산적 금융, 안 돼”…주요 금융사 참여 독려
- 기업 체감경기 다시 ‘꺾여’…10월 기업심리지수 90.6, 두 달 만에 하락
- 10월 소비자물가 2.4% 상승…15개월 만에 최고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