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캄보디아 현지 거래소로 송금된 코인 규모가 1년 새 1,400배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범죄조직이 국내 거래소를 자금세탁 통로로 악용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커지고 있다. 금융당국은 뒤늦게 제도 개선에 나섰지만, 거래소가 정부보다 빨랐다는 비판이 국회에서 쏟아졌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양수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5대 가상자산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와 캄보디아 ‘후이원 개런티’ 간 코인 유출입 규모는 총 128억645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922만원에서 1년 만에 1,400배 가까이 폭증한 것이다.
거래소별로 보면 빗썸이 124억2,646만원으로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고, 업비트는 3억6,691만원, 코빗은 1,187만원, 코인원은 120만원 수준이었다. 올해(1~10월)에도 거래는 이어져 총 31억4,925만원 규모의 코인이 오갔다. 빗썸(21억8,218만원), 업비트(5억2,351만원), 코빗(4억4,328만원) 순이다. 거래소들은 3~5월 사이 순차적으로 후이원 개런티와의 입출금을 차단했다.
후이원 그룹은 사기·도박·마약 등으로 탈취한 가상자산을 세탁한 혐의로 미국과 영국 정부로부터 초국가적 범죄조직으로 제재를 받은 곳이다. 후이원 개런티는 이 그룹 계열의 가상자산 서비스 플랫폼이다.
특히 전체 거래의 99.9%가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로 이뤄졌다. 변동성이 낮고 환금성이 높아 사실상 달러 대체 송금 수단으로 활용된 것으로 분석된다. 빗썸에서는 후이원 외에도 캄보디아 프린스그룹 계열 거래소인 ‘바이엑스(IX)’를 통한 68만원 규모의 입금이 확인됐다. 바이엑스 역시 자금세탁 통로로 지목돼 국제 제재를 받았으며, 빗썸은 지난 22일 모든 코인 입출금을 차단했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 종합감사에서 “사기·도박·마약 등 범죄와 연계된 자금의 경우 선제적 계좌 정지 제도 도입 등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며 “국민 보호를 위해 외교부 등 관계기관과 협의해 자금세탁방지법(AML) 체계를 신속히 정비하겠다”고 말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도 “현재 해외법인 관련 직접 감독 체계가 부재하다. 입법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 정부 조치와 연계해 즉시 시행하겠다”며 “가상자산거래소의 이상거래탐지(FDS) 시스템을 자율규제에서 법제화하는 방안을 2단계 입법에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국정감사에서는 정부의 늑장 대응을 비판하는 목소리도 이어졌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국은 지난 5월 후이원 그룹을 돈세탁 우려기관으로 지정했지만, 우리 당국은 아무 조치를 하지 않았다”며 “오히려 빗썸이 4월 이미 입출금을 차단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캄보디아 스캠피싱이 급증하던 2023~2024년 금감원은 점검이나 제재를 하지 않았고, 올해에도 미국이 경고한 5월과 10월에 조치가 없었다”며 “민간 거래소가 정부보다 먼저 움직였다”고 말했다.
이양수 의원도 “후이원 그룹과의 거래가 128억645만원, 올해에도 31억4,925만원에 달했는데 금융당국은 손을 놓고 있었다”며 “고위험 자금 이동 경로를 실시간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025국감] “농협은행 ELS 판매로 작년 7723억원 손실…개선책 강구해야”
- [2025국감] “보험료 오르고, 재가입도 안 돼”…NH농협손보 농작물재해보험료 도마 위
- [2025국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홈플러스 인수 검토한 적 없어”
- [2025국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 “심려끼쳐 죄송…경찰수사 성실히 임할 것”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 공공기관 지정에 심각한 우려”
- [2025국감] 이찬진 “소비자 보호 최우선으로…기존 관행 반성”
- [2025국감] “소액결제·해킹 피해 KT, 가입자 위약금 면제해야”
- [2025국감] 이찬진 “디지털자산·GA 감독 강화…한국형 체계 설계”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장, 강남 아파트 2채 보유 논란에 “한두 달 안에 정리”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국제기준 맞춰 정립할 것”
- [2025국감] 이억원 금융위원장, 개포동 갭투자 논란에 “무겁게 받아들인다”
- [2025국감] 이억원 금융위원장 “금융사고 성과급 환수 제도 검토”
- [2025국감] 이찬진 “상호금융 감독체계, 금감원으로 일원화 필요”
- [2025국감] 이찬진 “NH농협생명 ‘핸드크림 부정구매’ 현장검사…위법 시 엄정 조치”
- 전북은행, 캄보디아 조직 ‘후이원 그룹’과도 거래
- ‘일임식 자산유보형 공동재보험’ 도입…보험사 자본관리 효율성 높인다
- 은행연합회, 국제은행연맹 이사회 서울서 개최
- 금융정보분석원, FATF 총회 참석…범죄자금 환수·AML 국제공조 강화 논의
- 외국 여성 코인 투자 권유, 무조건 걸러라?…로맨스스캠 ‘주의보’
- 경찰, 업비트 압수수색…캄보디아 범죄조직 자금세탁 의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