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경. ⓒ금감원
▲금융감독원 전경. ⓒ금감원

9월 가계대출 1.1조↑ 그쳐…‘6·27 대책’ 효과 본격화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9월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1조원대 초반으로 급격히 줄며 뚜렷한 안정세를 보였다. 정부의 ‘6·27 대출관리 대책’ 영향이 본격화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주담대)과 신용대출 모두 증가세가 둔화되면서다.

16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 발표한 ‘9월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9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1조1,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전월(4조7,000억원)과 전년 동월(5조4,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줄어든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은 3조6,000억원 늘어 전월(5조1,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은행권이 2조5,000억원, 제2금융권이 1조1,000억원 늘어 두 업권 모두 둔화세를 보였다. 정부는 6·27 대책 시행 이후 주택매매 거래량이 줄고, 그 효과가 2~3개월 시차를 두고 대출에 반영된 결과로 분석했다.

반면 기타대출은 2조4,000억원 줄며 감소폭이 전월(4,000억원 감소)보다 확대됐다. 특히 신용대출이 1조6,000억원 감소하며 전체 감소세를 이끌었다. 금융당국은 휴가철 이후 자금 수요가 줄어든 데다, 분기 말 상환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은행권 가계대출은 2조원 늘어 전월(4조1,000억원)보다 증가세가 완화됐다. 자체 주담대는 1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2조7,000억원)보다 줄었고, 정책성 대출(디딤돌·버팀목 등)은 1조1,000억원 증가로 전월과 비슷했다. 제2금융권 대출은 9,000억원 감소로 전월(6,000억원 증가) 대비 감소세로 전환됐다.

금융위는 “6·27 대책 효과가 본격화되면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 부분 안정됐다”며 “다만 수도권 일부 지역의 주택거래가 다시 늘어나는 조짐이 있어 향후 시차를 두고 대출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당국은 지난 15일 발표한 ‘대출수요 관리방안’의 현장 점검과 불법·편법 대출 조사 등을 강화해 가계대출 안정을 조기에 정착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