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 920원 현금배당, 8500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KB금융지주가 올해 상반기 상반기에만 3조4,35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시현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규모다.
2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3% 늘어난 1조7,384억원을 기록했다.
KB금융은 24일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로 올 상반기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KB금융 측은 “전년도 주가연계증권(홍콩 ELS) 충당부채 적립 영향이 소멸되고 환율 하락과 주가지수 상승으로 비이자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고 밝혔다.
KB금융의 상반기 순이자이익은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순이자마진(NIM) 축소 영향으로 전년동기 대비 0.4% 감소한 6조3,687억원을 나타냈다.
2분기 그룹의 NIM은 1.96%로 전분기 대비 5bp 하락했다. 은행 NIM은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대출자산 수익률이 축소된 영향으로 전분기보다 3bp 하락한 1.73%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순수수료이익은 1조9,660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카드 가맹점수수료 감소에도 은행 방카슈랑스 판매수수료 및 증권 브로커리지 수수료 증가, 자산운용과 관리자산 매각에 따른 수수료 이익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특히 2분기에는 순수수료이익이 전분기 대비 10.5% 증가한 1조320억원을 기록했다. 분기 기준 순수수료이익이 1조원을 넘어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6월 말 기준 그룹의 NPL(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72%로 전분기 대비 0.04%p 개선됐으며, NPL커버리지비율은 전분기 대비 5.4%p 개선된 138.5%로 나타났다.
상반기 그룹의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3.74%, 16.36%를 기록했다.
그룹 ROA, ROE는 각각 0.90%, 13.03%로 전년동기 대비 수익성, 자본효율성 등이 완연히 회복된 모습을 보였다.
최대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1,8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3% 급증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NIM 축소에도 전년도 ELS 충당부채 적립 영향 소멸, 방카슈랑스판매수수료 및 투자금융수수료 이익 확대 등이 반영된 영향이다.
2분기만 떼어놓고 봐도 당기순익이 1조1,612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3.1% 증가했다.
6월 말 기준 원화대출금은 372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2.4%, 전분기 대비 1.4%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전분기 대비 0.9% 소폭 확대된 반면, 기업대출은 전분기 대비 1.9% 증가했다.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0.31%,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35%로 전분기 대비 각각 0.04%p, 0.05%p 하락했다.
KB증권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3,38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9.9% 감소했다. 증시 회복과 금리하락 등 전반적인 업황 개선으로 총영업이익은 확대됐으나, 부동산 PF 사업장에 대한 선제적 충당금 적립이 발목을 잡았다.
KB손해보험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5,58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3% 감소했다. 2분기에도 구조화채권 평가이익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22% 감소한 2,446억원에 그쳤다.
KB국민카드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1,81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9.1% 감소했으며, KB라이프는 신계약 매출 증가와 간접비 절감에 의한 예실차 축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1,891억원을 시현했다.
한편 KB금융은 주당 920원의 현금배당과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자사주 매입·소각은 상반기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 13.5% 초과 자본을 하반기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KB금융만의 주주환원 프레임워크에 따른 것이다.
나상록 KB금융 재무담당 상무는 “이번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으로 올해 주주환원 규모가 총 3조100억원에 달하게 되며, 최근 시장 컨센서스를 감안할 경우 역대 최고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시현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당사는 업계 최고 수준의 자본력과 안정적인 이익창출력에 기반한 일관되고 차별화된 주주환원 정책으로 시장과의 신뢰를 더욱 견고히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
- KB금융, 상반기 1조5871억 사회적 가치 창출
- 실적 발표 앞둔 4대 금융지주, 상반기 순이익 ‘역대 최대’ 전망
- JB금융, 상반기 당기순익 3704억원…전년比 0.1%↑
- 카카오페이손보, 장영근 대표이사 연임
- “스타필드 이용 10% 할인”…‘스타필드 신한카드’ 출시
- 토스인슈어런스, 홈페이지 전면 개편…브랜드 명확성 및 정보력 강화
- DB손해보험, 설채현·이기우와 기부하는 펫보험 론칭
- KB금융, 글로벌 ESG 평가지수 ‘FTSE4Good’ 15년 연속 편입
- Sh수협은행, 홍수 피해 고객 500억 긴급 금융지원
- 동양생명, KSQI 고객접점 부문 8년 연속 업계 1위 차지
- BNK부산은행, ‘소셜아이어워드 2025’ 금융혁신대상 수상
- 삼성카드, 상반기 순이익 3356억원…전년比 7.5%↓
- 나흘간 전국민 57.1% 소비쿠폰 신청…5.2조 지급
-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퇴임…“韓 경제영토 넓히려 노력”
- 현대카드, 상반기 당기순익 1655억원…전년比 1%↑
- 신한카드, 상반기 순이익 2466억원…전년比 35%↓
- ‘리딩금융’ 굳힌 양종희 “뚝심”…‘리딩뱅크’ 지킨 진옥동 “관록”
- 신한카드, 생성형 AI 기반 사내 플랫폼 ‘아이나’ 구축
- 새마을금고, 전국 영업점 1682곳 ‘무더위 쉼터’ 운영
- 李 대통령 ‘이자놀이’ 비판에…금융권, 100조원 규모 펀드 약속
- iM금융그룹, 상반기 순이익 3093억…전년比 106.2%↑
- iM금융그룹, 상반기 당기순익 3,093억…전년比 106.2%↑
- KB부동산, ‘LH청약전용관’ 서비스 출시
- ‘역대급 호실적’ 기록한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 속도 낸다
- KB금융그룹, ‘K-미술, 세계를 날다’ 영상 공개
- 은행권 연체율 상승 지속…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9년 만에 최고
- iM라이프, GA 대상 ‘금융소비자보호 영업활동 리포트’ 제공
- 유남규·여홍철·심석희,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방문
- KB증권, 세전 연 4.0% ‘중개형 ISA 전용 특판 ELB’ 판매
- KB증권, 비대면 개인연금자산 2조원 돌파
- KB금융, 광복 70주년 기념 ‘다시 쓰는 대한이 살았다’ 캠페인 전개
- KB국민카드, 단풍 절정기 명산 상권 26%↑
- KB국민카드, ‘아이 키우기 좋은 기업’ 선정…고용노동부 장관상 수상
- [리더십 리포트] ‘5조 클럽’ 입성…경영 능력 입증한 양종희 KB금융 회장
- KB손보, 업계 최초 지수형 날씨보험 1.5년 배타적 사용권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