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200% 이상 '33.1%'
[SR(에스알)타임스 전근홍 기자] 지난해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 세명 중 한 명은 2년 간 소비없이 소득을 모아도 빚을 전부 갚을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김두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더불어민주 의원이 통계청과 한국은행 등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00% 이상인 사람의 비율은 33.1%를 기록했다.
처분가능소득이란 개인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장분담금, 이자 비용 등 비소비성 지출을 뺀 소득을 말한다. 소비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 200% 이상 대출자의 비중은 증가추세다.
지난 2014년 28.0%였다가 2015년(30.1%)에 처음으로 30%를 넘어섰고, 2016년 31.4%, 2017년 31.7%, 2018년 33.1%로 커졌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300%를 초과하는 이들의 비중도 불어나고 있다. 2014년 17.6%에서 작년 21.1%까지 늘어, 대출자 다섯 명 중 한 명꼴이다.
반면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의 50% 이하인 대출자, 다시 말해 한 해 처분가능소득의 절반을 모으면 빚을 다 갚을 수 있는 이의 비중은 2014년 전체 대출자의 35.2%였다가 작년 30.1%까지 떨어졌다.
전체 가계대출 금액은 지난 2014년 1,085조 원에서 올해 2분기 기준 1,556조 원으로 43.4% 증가했다.
김두관 의원은 “지난해부터 부동산 대출 규제로 가계 부채 증가는 둔화하는 추세지만 기존 대출자의 원리금 상환 등으로 소비 위축을 불러올 수 있는 만큼 취약차주와 금융부채 비율이 높은 가구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국정감사 2019] 5년간 국토부 산하기관 지급 토지보상비 '22조'
- [국정감사 2019] 포스코건설, 전국 아파트 '라돈' 검출 신고 1위
- [국정감사 2019] '구멍뚫린 안보' 구글 위성지도에 군사보안시설 40% 노출
- [국정감사 2019] 최기영 장관, “화웨이 장비 문제 확인된 바 없다”
- [국정감사 2019] 공정위, ‘DLF’ 책임있는 하나은행에 '소비자중심경영' 인증?
- [SR포커스] 한은 금통위, 기준금리 1.25%로 인하…2년 4개월만 최저치
- [국정감사 2019] 제윤경 의원 "주금공 학자금 대출 신용불량자 1만명, 연체율 14%"
- [국정감사 2019] 9억 이상 고액 전세거래 5년새 4배 증가
- [국정감사 2019] 윤석헌 금감원장 "농협태양광 사기 대출, 조치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