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권의 화두인 ‘생산적 금융’은 2016년 말 금융권에 처음 등장한 용어로, 당시의 저금리 기조는 대규모 자금이 시장에 유입되는 도화선이 됐다. 여윳돈이 재건축 시장과 수익형 부동산 투자로 쏠리는 악순환이 이어졌고,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금융자원을 혁신적인 분야에 투자하는 ‘생산적 금융’을 핵심 정책으로 제시한다. ‘생산적 금융’이 국내 금융시장에 뿌리를 내리게 된 계기이기도 하다. 이 같은 노력에도 이어진 부동산 투기 붐 속에서 ‘생산적 금융’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빠르게 점차 잊혀지는 듯 싶었다. 하지만 9년 흐른 지금 이재명 정부 출범과 함께 ‘생산적 금융’은 국내 금융 생태계의 중심축으로 재부각됐다.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시도하는 시장의 현황과 금융권의 움직임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강태영 농협은행장. ⓒNH농협은행
▲강태영 농협은행장. ⓒNH농협은행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이 정부의 ‘혁신·포용 금융’에 호응하며 구체적인 실행책 마련에 나섰다. ‘생산적 금융’ 전담조직 신설부터 소상공인·중소기업 지원, 혁신기업 발굴 및 협력, 미래 전략산업 투자 등 각 은행별로 차별화된 전략을 내세우며 금융의 역할을 신성장 동력으로 옮기려는 움직임을 이어가고 있다.

OO일 금융권에 따르면, NH농협은행은 대내외 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지원 등 생산적 금융 실천에 앞장서고 있다.

◆신보·기보 협력 강화…2.6조 금융지원 추진

농협은행은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과 협력해 올해 총 2조6,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지난 4월에는 기술보증기금과 ‘주력산업 위기극복 및 수출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협약을, 5월에는 신용보증기금과 ‘실물경제 회복 및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협약을 각각 체결했다.

이에 따라 농협은행은 신용보증기금과 1조8,000억원, 기술보증기금과 8,000억원 등 총 2조6,000억원의 금융지원을 실시한다. 지원대상은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유망창업기업 ▲수출기업 ▲고용창출기업 ▲벤처기업 등이다.

또한 농협은행은 전국 17개 신용보증재단과의 특별출연을 통해 올해 은행권 최대 규모인 약 1조9,000억원의 금융지원을 추진한다.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컨설팅도 강화한다. 농협은행은 지난 2019년부터 소상공인 컨설팅과 더불어 폐업·재취업·재창업 관련 교육을 운영해왔으며, 올해 11월 중 이를 지역 단위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술금융 대상업종 농축산업종까지 확대

실제로 중소기업 금융상품에도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농협은행의 기술금융 잔액은 20조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12월 출시한 전용 상품 ‘NH기술평가우수기업대출’의 잔액은 1조원을 돌파했다. 이 상품은 기술신용평가서(TCB)를 발급받은 중소기업,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에 대출한도를 확대하고, 최대 1.80%포인트(p)까지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기술금융 대상업종이 농축산업종까지 확대됐다. 강태영 농협은행장은 “창업, 제조기업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농축산 기업까지 혁신기업을 위한 생산적 금융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농협은행은 올해 조직개편으로 대기업고객부 내 중견기업금융팀을 신설했다. 농협금융 대표플랫폼 NH올원뱅크를 기반으로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위한 ‘NH소상공인컨설팅’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컨설팅센터와 개인사업자 특화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농협은행 관계자는 “중견기업 지원을 강화해 올해 중견기업여신이 1조원 이상 순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임베디드금융 기반의 생산적 금융을 지속 강화해 중소기업의 성장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