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중단됐던 금융서비스가 순차적으로 복구되면서 대부분 정상화 단계에 들어섰다. 다만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서비스만은 아직 복구되지 않아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모바일 신분증 등 대체수단을 활용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29일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금융결제원 등 유관기관과 은행·보험·증권 등 업권 협회가 참석한 가운데 세 번째 긴급회의를 열었다. 이번 회의에서는 행정시스템 복구에 따른 금융권 서비스 정상화 현황과 남은 애로사항, 소비자 불편 최소화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금융권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시스템이 단계적으로 복구되면서 대출 신청 등 행정정보 자동접수(공공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가 정상화됐다고 보고했다. 또 그동안 중단됐던 우체국 계좌 송금·이체 서비스도 이용이 가능해졌다. 주민등록증 진위확인과 관련해서는 다른 신분증이나 정부24, 행안부 ARS(1382)를 통해 확인 절차를 진행하며 창구 안내를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금융위가 직접 관리하는 대국민 사이트 복구 현황도 점검됐다. 금융정보분석원 홈페이지는 28일 복구가 완료됐고, 금융위 대표 홈페이지와 인허가등록신고시스템, 금융규제법령해석포털은 복구가 진행 중이다. 금융위는 홈페이지 오류 안내와 블로그·페이스북 등을 통해 정책 소통을 유지하고, 오프라인 접수나 메일 처리 방식으로 업무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대부분 금융서비스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것은 다행”이라면서도 “예상치 못한 지연이나 안내 부족으로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마지막까지 긴장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민등록증 진위확인 등 미복구 서비스도 소비자 불편 해소를 최우선에 두고 유연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우리금융, 5년간 생산적 금융·포용금융에 80조원 투입
- 국정자원 화재 여파에 은행권 금융 서비스 일부 차질
- ‘금융위·금감원’ 체제 유지…금융감독 개편 재검토
- “돈 벌어 이자도 못 내는 기업 17%”… 14년 만에 최고치
- 신한금융, ‘책임경영 기반 정보보호 체계’ 본격 가동
- DB손해보험, 병의협과 ‘의사·병원 배상책임보험’ 협약
- 전자금융 결제수수료 공시 확대…PG업 규율도 강화
- “정부 전산망 화재 틈탄 스미싱 기승”…금융당국 소비자경보 발령
- 보험전문인 시험 최종 합격자 626명…보험계리사 120명·손해사정사 506명
- 최태원·김범석·김병주 정무위 국감 줄소환… 4대 금융 회장은 빠져
- “금융사기 막자”…금감원, 한 달간 퀴즈 이벤트
- “투자자 보호 최우선”…금감원, 증권사 감사 워크숍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