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제작 이미지.
▲챗GPT 제작 이미지.

기존 카드 결제망 활용 방안 모색…협력은 ‘지지부진’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스테이블코인 도입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국내 주요 카드사들이 앞다퉈 상표권을 출원하고,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는 등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결제 시장 속에서 실질적인 사업화 논의와 명확한 추진 전략이 부족하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카드사 8곳(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 중 삼성카드를 제외한 7개사가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를 출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블코인이란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화폐를 말한다. 주로 달러, 유로화 등 특정 자산에 가치를 고정해 설계한다. 법정화폐처럼 결제 수단, 자산 저장 수단, 회계 단위 등의 기능도 있다. 

카드사들은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잇따라 출원하며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나섰다. 신한·KB국민·우리·롯데·비씨카드가 상표권을 출원했고, 가장 최근에는 하나카드도 스테이블코인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고 시장 경쟁에 뛰어들었다.

비씨카드의 경우 국내외 스테이블코인 시장 동향을 파악하고, 조사하기 위해 사내 영업 그룹 내 소규모 스테이블코인 전담팀을 조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삼성카드는 아직 상표를 출원하지 않았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스테이블코인 관련 시장과 규제의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카드사들은 상표권 출원에 이어 공동 대응에도 나섰다. 지난달 30일 여신금융협회와 주요 8개 카드사는 스테이블코인 도입에 대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

TF 구성 배경은 카드사들이 지급결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스테이블코인 결제는 PG(전자지급결제대행)사나 VAN(밴)사를 거치지 않고 소비자와 가맹점이 직접 결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드사의 입지가 좁아질 가능성이 크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TF는 기존 카드 결제 인프라를 활용해 지급결제 시장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로 보인다”며 “세제, 가맹점 관리, 대금 지급, 자금 추적, 수수료, 규제 등 다양한 이슈가 얽혀 있어, 이미 구축된 카드 결제망을 기반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다만 첫 회의가 뚜렷한 방향성 없이 마무리되면서, 업계에서는 공동 대응이 힘을 잃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추후 TF 회의 일정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카드업계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개화하는 것에 대응하는 명확한 전략을 세우지 못한채, 외부 변화에 수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한계를 보인다고 지적한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디지털자산 시대가 본격화되며 기존 금융 결제 생태계인 PG사, 카드사 등도 스테이블코인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카드업계 내부에서는 현재 ‘남들이 하니까 우리도 한다’는 식의 대응이 강하다”고 말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PG사나 카드사들이 한국이 강점을 가진 콘텐츠, 제조, AI 등과 연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스토리라인을 만들어가야 할 시점”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