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SAF 급유 첫 상용운항 시작…2027년부터 SAF 혼합 급유 의무화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가 30일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에서 정유·항공업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속가능항공유 확산 전략을 공동 발표했다.
지속가능항공유(SAF)는 화석연료로 만들지 않고 기존 항공유와 화학적으로 유사하며 항공기의 구조변경 없이 사용가능한 친환경 연료를 말한다. 동·식물 유래 바이오매스, 대기중 포집된 탄소 등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친환경 연료로 기존 항공유 탄소배출량의 평균 80%까지 저감 가능하다.
지속가능항공유는 국제항공에서 탈탄소 효과가 가장 큰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고 전세계 19개 국가에서 기후위기 대응 차원에서 SAF 급유 상용 운항을 시행중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SAF 혼합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산업부와 국토부는 국내 SAF 활성화를 위한 중장기 비전과 종합적인 지원방안을 담은 ‘SAF 확산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이달 30일부터 국내 공항에서 한국 항공사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인증한 국산 SAF를 급유해 국제선 정기운항을 시작한다. 운항노선, 기간 및 SAF 혼합비율 등은 국적항공사가 자율적으로 정하고 국내 정유사와 SAF 구매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2026년까지 민관 협력을 통한 자율적 SAF 사용을 촉진한다. 산업부·국토부, 국적항공사·국내정유사, 인천국제공항공사·한국공항공사 간 ‘SAF 상용운항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국내 SAF 사용 확대에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양해각서 체결에 참여하는 국적 항공사는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이스타항공, 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에어프레미아, 에어로케이 등 9개사다. 국내 정유사는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등 5개사다.
이외에도 산업부와 국토부는 ICAO의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가 모든 회원국(193개국) 대상으로 의무화되면서 국제항공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2027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의 모든 항공편에 SAF 혼합(1% 내외) 급유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한국이 항공유 수출 1위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국내 항공유와 SAF의 원스톱 공급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 대한항공, ‘국산 지속가능항공유’로 하늘 누빈다
- HD현대오일뱅크, 국내 최초 지속가능항공유 수출
- 에쓰오일, 국내 최초 지속가능항공유 생산 개시
- ‘반도체 분야 실적 급등’…8월 수출 전월 대비 11.4%↑
- 국토부, 공간정보 기술개발 중장기 로드맵 6일 발표
- 3기 신도시 ‘인천계양’ 첫 분양…수도권 우수입지 4,000호 공급
- SK에너지, 지속가능항공유 전용 생산라인 갖춰
- 에쓰오일·티웨이항공, 지속가능항공유 공급·공동마케팅 ‘맞손’
- GS칼텍스, 텀블러 사용 확대 위한 ‘투인원 텀블러백’ 제작
- 산업부 무역위, 중국산 후판 제품 반덤핑 조사 착수
- 에쓰오일, 올수와 친환경 원료 공급 계약
- GS칼텍스, 제2회 DT 데이 개최…미래 혁신과제 공유
- HD현대오일뱅크, 자회사 HD현대코스모 흡수합병 결정
- GS칼텍스, ‘마음톡톡 뮤직 힐링 콘서트’ 예울마루 소극장 개최
- HD현대오일뱅크, 바이오선박유 시장 선점 나서
- GS칼텍스, 난방유 봉사활동 온정…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천
- GS칼텍스·KAIST, 다문화 우수인재 육성 ‘맞손’
- 정유 4사, ‘바이오선박유’ 미래 새 먹거리 각양각색
- 대한송유관공사, 박창길 신임 대표이사 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