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뉴스화면 캡처
ⓒKBS뉴스화면 캡처

청년도약계좌·대환대출 플랫폼·소액 생계비 대출 출시 초반 '흥행'

하반기에는 예금자보호한도 상향·금산분리 제도 개선안 등 발표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윤석열 정부의 서민·청년 대상 금융 정책이 속도를 내고 있다.

18일 금융당국 등 업계에 따르면 최근 청년도약계좌, 대환대출 플랫폼, 소액 생계비 대출 등 '금융 3종 세트'가 시장에 나왔다.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시장 불공정·불균형을 바로 잡으려는 의지가 반영된 정책들이다.

청년도약계좌는 매달 70만원씩 5년씩 적금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게 설계된 정책이다. 지난 15일 출시 이틀 만에 누적 가입자 16만명을 돌파했다.

정부는 가입자 규모를 300만명 수준으로 예상했지만, 내년 2~3월 청년희망적금이 만기되면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은 스마트폰 앱으로 기존 신용대출을 더 낮은 금리로 쉽게 갈아탈 수 있는 상품이다. 지난달 31일 출시 이후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해 4,000억원이 넘는 규모의 대출이 이동했다. 지난 16일 기준 금융회사 간 1만7,481건의 대출 이동으로 4,472억원 규모의 대환대출이 이뤄졌다.

소액 생계비 대출은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저소득 취약 차주를 대상으로 최대 100만원의 자금을 신청 당일 대출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지난 3월 출시 이후 약 5만명이 이용했다. 지난 9일 기준 5만1,125명이 총 314억원을 빌렸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에도 중요한 정책의 결정을 앞두고 있다.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로 관심이 커진 예금자보호한도 상한과 관련해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는 오는 8월까지 예금자보호한도와 예금보험료율 재조정 등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금융 소비자들의 불안이 대규모 뱅크런(현금 대량 인출 사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 우려해 금융회사 한 곳당 5,000만원으로 제한한 예금자보호한도를 1억원 이상으로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오는 9월 코로나19 피해 대상 자영업자, 중소기업에 대한 원금·이자 상환 유예 조치 종료를 앞두고 금융당국의 연착륙 지원 방안도 시험대에 오른다. 시장에선 그간 코로나 지원 조치로 인해 가려졌던 대출 부실이 터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회사가 자회사 출자를 통해 생활서비스 등 비금융 분야 사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금산분리 제도 개선안도 올해 3분기 중 발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