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전문가, “필리핀 합류 시 인도-태평양판 나토가 될 것”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한국·미국·일본 3국이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안보협력 강화에 합의하면서 이번 정상회의가 ‘아시아판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에 대한 중국의 경계심을 강화할 수 있다고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9일 보도했다.
NYT는 ‘중국의 적의(rancor)를 깊어지게 할 가능성이 있는 방위 합의’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미일이 억제(deterrence)라고 부르는 것을 중국은 포위, 심지어 도발이라고 규정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이번 정상회의 결과로 나온 ‘한미일간 협의에 대한 공약’은 위기 상황에서 3국간의 신속한 협의, 정보 공유, 메시지 동조화, 대응 조율 등을 담았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한미일 정상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것은 명백히 태평양 나토가 아니다”라며 “우리가 새롭게 하고자 하는 것은 역내 안보를 증진하고 중국을 포함해 역내 나라들의 경제 발전을 돕기 위해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회담은 특정 나라를 겨냥하지도 않았다”라고도 했다.
NYT는 중국 전문가들의 분석도 함께 소개했다. NYT와의 인터뷰에 응한 중국의 군사 전문가 쑹중핑은 “이제 중국은 (미국이) 필리핀 같은 다른 나라들을 끌어들이면서 동맹 관계를 확대할 조짐들을 주시할 것”이라며 “그것은 인도-태평양판 나토가 될 것이기에 중국엔 최악의 시나리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NYT는 중국이 이번 한미일 정상회의에 대한 반발심을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한 징후들을 소개했다.
일본 통합막료감부에 따르면 중국 함점 6척과 러시아 함정 5척이 지난 17일 오키나와섬과 미야코지마 사이 해역을 북서진해 동중국해를 향해 항행했고 이튿날인 18일에는 러시아 초계기 2대가 동해와 동중국해 사이를 비행했다.
한미일 정상회의 개최 직후인 19일에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KJ-500 조기경보기와 Y-9 전자전기, J-10, J-11, J-16, Su-30 전투기, Z-9 대잠헬기 등 군용기 총 42대가 대만 인근 해상에서 무력시위를 벌였다.
NYT는 또 주한미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대응한 중국의 한한령(한류 제한령)을 소개하며 중국이 경제적 수단으로 보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