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화 연구개발본부장, 연구개발 최고기술경영자 맡아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적시에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개발(R&D) 체계를 위해 대규모 조직 개편에 나섰다.
김용화 연구개발본부장(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하며 R&D 부문을 총괄하는 최고기술경영자(CTO) 역할을 맡게 됐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전동화 체제 전환과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가속화 등 급변하는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R&D본부 조직을 개편했다고 12일 밝혔다.
기존 완성차 개발 중심의 중앙 집중 형태에서 독립적 조직들간의 연합체 방식(ATO)으로 개편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자동차·기아는 차량개발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부분을 모아 본부급으로 승격시켜 신차 개발 완성도 제고와 양산 품질 확보 측면을 강화하고, 기존 R&D본부 조직 중 차세대 혁신 기술 부문을 재구성해 별도의 담당으로 편성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R&D 부문을 총괄하는 CTO 산하에 ▲TVD(Total Vehicle Development)본부 ▲차량SW담당 ▲META(Mobility Engineering & Tech Acceleration)담당 ▲독립형 개발조직(배터리, 로보틱스, 수소연료전지, 상용)·디자인센터 등 각 부문을 독자적인 개발 체계를 갖춘 조직으로 재편했다.

TVD본부는 전동화 모델 등 신차 개발을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조직이다.
현대자동차·기아는 기존 R&D본부의 핵심 역량이었던 차량 개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제품통합개발담당 등 신차 개발 조직을 모아 본부급으로 격상시켰다.
특히, TVD본부 산하에 ▲제네시스개발담당 ▲다목적 차량 및 소형차 개발을 위한 차량개발1담당 ▲중대형 차량을 개발하는 차량개발2담당을 조직했다.
또한, 현대자동차·기아는 전동화 톱티어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전기차 개발 및 양산 역량도 강화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전동화설계센터, 전동화시험센터 등 전동화 개발 조직을 본부 직속으로 편재해 빠른 의사결정과 혁신적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했으며, 전비와 전기차 안전 등을 연구하는 조직도 본부 직속으로 구성했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이번 조직 개편으로 전동화 모델 등 신차 개발에 있어 완성도와 개발 속도 모두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아울러 CTO 산하의 차량SW담당은 현대자동차∙기아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체계로 전환하는 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형태로 구성됐다.
현대자동차∙기아는 기존 전자개발센터와 인포테인먼트개발센터로 구성된 차량SW담당 산하에 자율주행사업부, 차량제어개발센터, 디지털엔지니어링센터를 추가했다.
차량SW담당은 현대자동차·기아의 차량에 적용될 전자아키텍처, 통합제어전략 등을 연구하고 실행할 예정으로, 본사 SDV본부 및 포티투닷(42dot)과의 협조체계를 갖춰 현대자동차그룹의 SDV 전략을 성공적으로 완수한다는 계획이다.
META담당은 차세대 혁신 제품 개발을 주도하기 위한 조직으로, 기존에 분산됐던 전동화, 샤시, 바디 분야 선행 신기술 및 기본 성능 육성 조직이 통합됐다.
META담당은 모빌리티기술센터, 차량성능기술센터,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 기초소재연구센터로 구성됐다.
이번에 신설된 모빌리티기술센터는 미래 혁신 신기술 및 새로운 콘셉트 모빌리티를 개발하고 차세대 아키텍처 기술을 확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함께 신설된 차량성능기술센터는 고성능차의 기술을 양산 적용하는 작업과 차량의 기본 성능을 선행적으로 연구하고 향상시키는 업무를 담당한다.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는 기존 대비 아키텍쳐 기반의 개발 기능이 강화됐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차량아키텍처개발센터가 META담당 산하로 편제돼 모듈러 아키텍처 개발 체계 계승과 차세대 기술 및 기본 성능이 양산 제품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개발 환경이 조성됐다"고 했다.
아울러 기존 연구개발본부의 독립 조직이던 기초소재연구센터도 혁신 제품을 연구하는 다른 연구개발 조직과의 유기적인 협업이 가능해졌다.
현대자동차∙기아는 이번 조직개편에 배터리, 로보틱스, 수소연료전지, 상용 등 승용 완성차를 제외한 사업 및 디자인센터의 독립적인 연구개발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며 CTO 직속으로 편성했다.
이들 담당 및 센터는 독립적으로 각 분야를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필요시 타 담당들과 유기적으로 협력해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번 조직개편과 진행된 인사에선 기존 연구개발본부장이었던 김용화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하며, 연구개발조직을 총괄하는 CTO에 임명돼 차량SW담당을 겸직하게 됐다.
또한, 기존 제품통합개발담당이던 양희원 부사장은 TVD본부장으로 임명됐다. META담당은 추후 선임될 예정이다.
현대자동차∙기아 관계자는 "개편된 조직은 비즈니스 환경 변화를 반영해 전동화, SW, 로보틱스 등 모빌리티를 아우르는 다양한 주제로 조직이 확대된 것"이라며 "이번 조직개편을 통해 스타트업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유연한 조직을 구성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현대차그룹, 59억달러 리쇼어링…전기차 투자 확대
- 현대자동차, '수소 모빌리티 선도도시 서울 조성' 업무협약
- 현대자동차, 김동조 전 청와대 외신대변인 영입
- 삼성전자, 작년 매출 300조…21년간 매출 '1위' 유지
-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FIFA 모든 대회 공식 후원
- 현대차 노사, 올해 '임단협' 상견례…정년 연장·상여금 규모 '관건'
- 현대차 아이오닉 5·6, 캐나다서 '올해의 친환경차' 수상
- 현대차그룹, 7년간 스타트업에 '1조3천억' 투자…미래 신사업 육성
- 기아, 대형 전동화 SUV 'EV9' 출시
- 대기업, 법인세 부담 감소에 '자본 리쇼어링' 활발
- 현대차, 전동화 전환 핵심 전략 '현대 모터 웨이' 공개
- 기아, 전세계 서비스 상담원 경진대회 개최…42개국 45명 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