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들이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기소를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홈플러스 전단채 피해자들이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의 기소를 촉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홈플러스 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ABSTB) 피해자들이 11일 서울중앙지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과 홈플러스 김광일 대표에 대한 신속한 기소를 촉구했다. 피해자단체는 “검찰 수사가 지연돼 피의자들에게 면책 구실을 주고 있다”며 즉각 구속영장 청구를 요구했다.

홈플러스 물품구매전단채 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금융정의연대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홈플러스가 회생 계획을 숨기고 투자자들에게 안전한 상품으로 속여 약 2,000억원을 편취했다”고 주장했다. 피해자 대부분이 은퇴자나 소규모 사업자 등 생계형 투자자라는 점도 강조했다.

비대위는 MBK와 홈플러스가 차입매수(LBO) 후 부동산 매각·임차 구조로 부채비율을 급격히 높였으며,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하고도 단기채 발행을 32% 늘렸다고 지적했다. “등급 하락 직후 회생 절차를 신청한 것은 사기 공모의 명백한 증거”라는 것이다.

이들은 “홈플러스는 피해자뿐 아니라 입점 점주에게도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며, 잇단 폐점 통보와 보류로 업주 매출이 최대 70% 급감했다고 했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상임대표는 “요란하게 시작된 수사가 흐지부지되는 것은 직무유기”라며 “검찰은 김병주 회장과 관계자들을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6월부터 이어온 피켓 시위 100차례를 마무리하고 ‘2차 투쟁’에 돌입한다. 단체는 “검찰의 신속한 기소만이 피해 회복과 홈플러스 정상화의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