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6월 기준 사고 사상자 배달의민족 814명, 쿠팡이츠 419명
“산재 양태 변화 맞춰 안전교육 시스템 내실화 등 실효적 대책 필요”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올해 상반기(1∼6월) 사고 사상자가 가장 많은 기업은 배달의민족(우아한청년들)으로 나타났다. 2위 기업은 쿠팡이츠로, 배달업이 산재 다발 업종으로 꼽히는 건설업보다 산재가 더 많았다.
15일 김위상(국민의힘,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회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배달의민족에서는 올해 6월까지 814명의 사고 사상자가 발생해 국내 기업 중 가장 많았다. 사망자도 2명 있었다.
배달의민족은 2022년부터 사고 사상자 1위를 유지해 올해까지 4년 연속 산재 최다 사업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2위는 쿠팡이츠로 419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산재보험 신청자 수로 집계하기 때문에, 실제 배달을 하다가 다친 근로자는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6월 기준 배민의 활성 이용자 수는 2,228만명, 쿠팡이츠가 1,125만명인 것을 고려하면 이용자 수 대비 산재 건수는 두 회사가 유사한 수준이다.
건설업에서는 대우건설이 19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건설(173명), 롯데건설(151명)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2023년 기준 전체 건설업 종사자는 181만명, 플랫폼 종사자 중 배달·운전 종사자는 48만5,000명으로 건설업보다 종사자 수가 적은 배달업에서 산재가 더 많이 발생하는 구조적 문제점이 드러난 셈이다.
배달업 산재가 수년째 1위인 것은 배달 수요와 배달업 종사자가 급증했지만 근로 환경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또, 폭염, 우천 등 악천후나 배달 기피 시간에 배달료가 더 지급되는 경우가 많아, 궂은 날씨에도 배달에 나서 산재 위험에 노출되는 경우도 빈번하다.
김위상 의원은 “산업 구조 전환에 따라 산재 양태도 변화하는 만큼, 맞춤형 안전보건교육 시스템 마련 등 실효성 있는 산재 예방 대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2025국감] 교촌 슈링크플레이션·불공정 계약 논란에 송종화 대표 질타
- [2025국감] “홈플러스 파산 불가피”…김병주 “자금 여력 없어, 안 하는 게 아니라 못 해”
- [2025국감] 정희용 "음식점·급식소서 원산지 표시 위반 1만건 적발…중국산 최다"
- [2025국감] 오세희 "중국산 초저가에 무너지는 K-브랜드…중소기업 피해 96.7%"
- [2025국감] 정연욱 "K팝의 그늘, 10년째 '갑질' 지속…정부 나몰라라"
- [2025국감] 쿠팡·배민·MBK 줄소환…플랫폼 불공정·먹튀 논란 도마
- [2025 국감] “국민 73% 퇴직연금 의무화 찬성, 국민연금 운용방식 거부감 커”
- [2025국감] 서영석 "배달앱 이물 신고 5년 반 새 누적 54배 폭증"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소비자 보호 중심으로 조직 전면 재설계”
- [2025국감] 서영석 "화장품 부당광고 1만2천건 적발…의약품 오인 표현 70% 달해"
- [2025국감] 정연욱 "한류로 오게 해놓고 결제로 막아"
- [2025국감] 이인선 "중국인 무비자 입국, 세관 위반 급증…관세청 대응 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