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점·집단급식소서 '국내산 둔갑' 농축산물…중국산 2,391건으로 최다
정 의원, "정부, 먹거리 안전 대책 제시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지난 9월 26일 정부가 음식점과 집단급식소를 대상으로 한 ‘원산지 인증제도’를 폐지하도록 하는 '식품산업진흥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제출해 논란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 원산지 표시 위반이 빈발하고 있어 대책 마련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4일 정희용 국회의원(국민의힘,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7월)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 농축산물 원산지 표시 위반으로 총 1만232건이 적발된 것으로 확인됐다.
원산지 표시 위반은 원산지를 거짓으로 표시하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렇게 적발된 원산지 표시 위반 건수는 음식점의 경우 ▲2021년 1,684건 ▲2022년 2,228건 ▲2023년 2,613건 ▲2024년 2,262건 ▲2025년(1~7월) 1,274건 등 총 1만61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급식소에서는 ▲2021년 21건 ▲2022년 16건 ▲2023년 29건 ▲2024년 90건 ▲2025년(1~7월) 15건 등 총 171건이 적발됐다.
최근 5년간 음식점과 집단급식소에서 국내산으로 거짓표시했다가 적발된 농축산물을 분류한 결과 중국산이 2,39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산 773건 ▲브라질산 189건 ▲호주산 177건 ▲스페인산 71건 등으로 뒤를 이었다.
정 의원은 “국내산으로 둔갑한 외국산 식재료가 우리 식탁을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합리적인 설명도 없이 원산지 인증제 폐지를 밀어붙여서 국민적 불신을 초래했다”며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정부는 먹거리 안전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2025국감] 오세희 "중국산 초저가에 무너지는 K-브랜드…중소기업 피해 96.7%"
- [2025국감] LH, 최근 3년간 국토부 산하 기관 ‘정보 시스템 취약점’ 최다
- [2025국감] 정연욱 "K팝의 그늘, 10년째 '갑질' 지속…정부 나몰라라"
- [2025국감] 과기정통부 “KT, 소액결제·해킹 사태 정부 조사 방해”
- [2025국감]“정부 GPU 확보, 전략 없는 추진은 예산 낭비”
- [2025국감] 교촌 슈링크플레이션·불공정 계약 논란에 송종화 대표 질타
- [2025국감] 김위상 "올해 상반기 산재사고 다발 1, 2위 모두 배달업"
- [2025국감] 쿠팡·배민·MBK 줄소환…플랫폼 불공정·먹튀 논란 도마
- [2025국감] 서영석 "배달앱 이물 신고 5년 반 새 누적 54배 폭증"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소비자 보호 중심으로 조직 전면 재설계”
- [2025국감] 서영석 "화장품 부당광고 1만2천건 적발…의약품 오인 표현 70% 달해"
- [2025국감] 정연욱 "한류로 오게 해놓고 결제로 막아"
- [2025국감] 이인선 "중국인 무비자 입국, 세관 위반 급증…관세청 대응 시급"
- [2025국감] 정희용 "10년간 농식품 무역적자 284조원…K푸드 '수출 최대' 홍보 빛바래"
- 메롱바·페레로로쉐 등 잇따른 '중국산' 논란에 소비자 우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