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발 이커머스 충격에 피해 중소기업 10곳 중 8곳 ‘대응 포기’
오세희 의원,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산업 보호 정책 강화해야”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온라인플랫폼 확산과 함께 중국발 이커머스의 초저가 덤핑 공세가 국내 시장을 급속히 잠식하면서 국내 중소기업의 생존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짝퉁 상품 유통으로 인해 ‘K-브랜드’의 신뢰도가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
오세희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은 14일 중소벤처기업부 국정감사에서 "중국발 초저가 덤핑과 짝퉁 상품이 국내 제조·유통 생태계를 무너뜨리고 있다"며 "이는 중소기업의 생존 위기와 더불어 K-브랜드의 신뢰를 뿌리째 흔드는 심각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실시한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국내 진출 대응 중소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6.7%가 피해를 경험했으며, 피해기업의 79%는 '사실상 대응을 포기'했다고 응답했다. 이는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이 거대한 중국 자본의 공세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고 있다는 현실을 명확히 보여줬다.
K-뷰티, 패션, 생활용품 등 국내 주력 소비재 산업 분야에서 피해가 집중됐다. 오 의원은 "국내 화장품 브랜드와 디자인이 거의 동일한 제품이 중국 플랫폼에서 정품의 10분의 1 이하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며 "소비자들이 이를 국산 정품으로 오인해 구매하는 등 지식재산권 침해를 넘어선 소비자 피해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오 의원에 따르면 해외직구 거래액은 2019년 2.7조원에서 2024년 8조원으로 약 3배 급증했으며, 이 중 중국산 제품 비중이 61.4%에 달한다. 또, 현재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는 국내 쇼핑 앱 순위 2·3위를 차지하며 국내 유통 생태계의 가격 질서를 빠르게 붕괴시켰다.
중국발 이커머스 등 해외직구와 관련해 미국은 2025년부터 800달러 이하 면세를 전면 폐지하고 중국산 제품에 평균 3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유럽연합(EU) 역시 2028년부터 150유로 이하 직구품에 관세를 적용하며 호주는 이미 1,000호주달러 이하 제품에도 10% 부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여전히 150달러 이하 면세 기준을 유지하고 있어 중소기업들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오 의원은 "중국발 이커머스 공세는 단순한 가격 경쟁을 넘어 국가 산업의 경쟁력과 K-브랜드의 신뢰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사안"이라며 “정부는 더 이상 피해기업들이 대응을 포기하는 일이 없도록 짝퉁 상품 단속 강화, 이커머스 시장 교란 방지 등 산업 보호 정책을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2025국감] LH, 최근 3년간 국토부 산하 기관 ‘정보 시스템 취약점’ 최다
- [2025국감] 정연욱 "K팝의 그늘, 10년째 '갑질' 지속…정부 나몰라라"
- [2025국감] 과기정통부 “KT, 소액결제·해킹 사태 정부 조사 방해”
- [2025국감]“정부 GPU 확보, 전략 없는 추진은 예산 낭비”
- [2025국감] 정희용 "음식점·급식소서 원산지 표시 위반 1만건 적발…중국산 최다"
- [2025국감] 교촌 슈링크플레이션·불공정 계약 논란에 송종화 대표 질타
- [2025국감] 김위상 "올해 상반기 산재사고 다발 1, 2위 모두 배달업"
- [2025국감] 쿠팡·배민·MBK 줄소환…플랫폼 불공정·먹튀 논란 도마
- [2025국감] 서영석 "배달앱 이물 신고 5년 반 새 누적 54배 폭증"
- [2025국감] 이찬진 금감원장 “금융소비자 보호 중심으로 조직 전면 재설계”
- [2025국감] 서영석 "화장품 부당광고 1만2천건 적발…의약품 오인 표현 70% 달해"
- [2025국감] 정연욱 "한류로 오게 해놓고 결제로 막아"
- [2025국감] 이인선 "중국인 무비자 입국, 세관 위반 급증…관세청 대응 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