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교보생명은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치매머니’ 해결책으로 선보인 ‘평생안심신탁’이 60~70대 고령층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출시 한 달 만에 100호 계약을 돌파하며 시장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
지난달 3일 출시된 ‘평생안심신탁’은 치매나 중증질환으로 인지 능력이 떨어진 65세 이상 고령자의 금융계좌가 동결돼 자금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 치매머니 규모는 약 172조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6.9%에 달한다.
치매머니는 노후 병원비와 간병비 등 예기치 못한 지출이 발생할 때 자금이 묶여 가족이 활용하지 못하고, 결국 상속세 부담으로 이어진다. 국가경제 차원에서도 현금 유동성이 감소해 내수가 위축되고 사회적 손실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일본은 20년 먼저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현재 치매머니 규모가 240조엔(약 2,300조원)으로 GDP의 40%를 차지한다.
평생안심신탁은 가입자가 평상시에는 일반 금융계좌처럼 자유롭게 이용하다가, 중증치매 또는 중증질환 진단을 받으면 지정된 후견인이 대신 계좌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100호 계약자인 60대 후반 남성은 “친구가 뇌경색으로 쓰러진 후 계좌 인출이 막혀 가족이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고, 평생 모은 재산을 잃지 않기 위해 계좌를 맡기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계약 현황을 보면 여성 가입자가 76%로 남성(24%)보다 많았으며, 연령대는 70대(51%)가 가장 높았다. 계약 금액은 1억 원 이하가 79%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1억~5억원 미만(17%), 5억~10억원 미만(3%), 10억원 이상(1%) 순이었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7월 종합재산신탁 사업에 본격 진출한 이후 보험금청구권신탁과 유언대용신탁 등 맞춤형 신탁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며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 있다.
김계완 종합자산관리팀장은 “초고령사회가 이미 시작된 만큼 금융기관도 다양한 서비스로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야 한다”며 “앞으로도 맞춤형 종합재산신탁 상품을 통해 고령층 재산 관리의 어려움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 8월 경상수지 91억5,000만달러 흑자… 수출·수입 모두 감소
- 9월 소비자물가 2.1% 상승… 통신요금 할인 종료·국제유가 영향
- 추석 앞두고 현금 수요 ‘급증’… 한은, 4조4천억 시중 공급
- 환전·경품 혜택…은행권, 추석 황금연휴 맞이 이벤트
- 미래에셋증권, 개인투자용국채 10월 청약 실시…누적금액 1조원 초과
- 코스피 3500 돌파…'9만전자·40만닉스' 현실화
- “비대면 금융사기 이렇게 대응해야”…금감원, 8대 보안서비스 안내
- [기획-금융] ④정진완號 우리은행…콘트롤타워 완비, 80조 투자 시동
- [기획-금융] ③정상혁號 신한은행…‘땡겨요’로 지역사회와 상생
- [기획-금융] ②이환주號 KB국민은행…상생 기반 ‘생산적 금융’ 강화
- [기획-금융] ①‘이자 장사’ 시대 종말…‘생산적 금융’ 대전환 서막
- 교보생명, ‘고객패널’ 제도 운영…”건강보험 혁신”
- 교보교육재단, ‘제27회 교보교육대상’ 수상자로 캐서린 한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