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빚 탕감’ 프로그램인 배드뱅크(장기연체채권 채무조정 프로그램) 출범을 앞두고, 이르면 9월부터 업권별 연체채권 매입 협약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금융권 분담 비율 논의는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배드뱅크 재원 4,000억원의 납입 마감일은 8월 말이다.
금융위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산하에 배드뱅크를 설립할 계획이다. 앞서 캠코는 ▲8월 채무조정기구 설립 ▲9월 업권별 협약 체결 ▲10월 채권 매입 개시를 목표로 제시하며 “장기 연체자의 신속한 정상 생활 복귀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업권 간 분담 비율 합의는 여전히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업계에서는 배드뱅크 재원 4,000억원 중 은행권이 3,500억~3,600억원을 부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는 결론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은행연합회, 여신금융협회, 저축은행중앙회, 생명·손해보험협회 등은 지난달까지 수차례 회의를 가졌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금융당국은 분담 비율을 업권별 협회가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8월 들어서는 회의조차 열리지 않았고, 추가 일정도 잡히지 않았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8월 중 논의를 위한 회의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8월 설립 예정이던 채무조정기구는 중순쯤 출범을 마쳤다. 이에 앞서 캠코가 이달 초 여신금융협회 회원사인 카드사·캐피탈사 등에 장기연체채권 규모 제출을 요청한 것과 관련해서는 현재 자료 취합이 완료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현재 기구 설립까지는 이뤄진 것으로 안다. 이후 (금융업권 간) 협약을 맺고 매입이 이뤄져야 하는데,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상생 금융’ 기조 속에 은행권은 사회 환원과 건전성 유지라는 과제를 떠안은 반면, 보험·카드·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은 경영 여건이 녹록지 않아 재원 분담 과정에서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업권별 이해관계가 다른데, 금융당국의 최소한의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지 않아 논의가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배드뱅크 분담은) 참여 금융사 간 이견들이 있다 보니 조율 과정이 있을 수 밖에 없다”며 “금융당국이 드라이브를 거는 만큼 업권은 따를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내부 논의는 진행 중이지만 정해진 건 없는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결국 금융위원회의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고 덧붙였다.
- 금융위, 전세사기 배드뱅크 설립하나…피해 실태 조사 착수
- 금융당국 “배드뱅크 8월 설립, 10월 채권매입 개시”
- '빚 탕감' 속도붙나…배드뱅크 재원 1·2금융 모두 부담
- “공정과 상생의 시장질서” 새 정부 금융시장 체질 바뀌나
- 금융감독원, 2026년도 신입 종합직원(5급) 66명 채용
- 5년간 증권사 전산사고 429건, 피해액 262억…금감원, 상시 감시 강화
- ‘더 센 상법’ 개정안 국회 통과…재계 “경영권 분쟁·소송 늘 것”
- “20대·50대도 갑상선 보장”…롯데손보, ‘언제나언니 보험’ 확대
- 메트라이프생명 사회공헌재단, 설립 20주년 ‘문화예술 나눔데이’ 개최
- “I LOVE iM!”…iM금융그룹, 건강한 기업문화 조성 박차
- 은행권 예금금리 1%대 진입…예금보호 1억원 시대 코앞
- 7월 기업 직접금융 조달 28조원…전달比 17.9%↑
- 신한은행, ‘성남시 집중 쿠폰 살포’ 사실 아냐…법적 대응 예고
- 금감원, 박람회 현장 보험상품 판매 ‘소비자 경보’ 발령
- 보험업계, 300억 상생기금 조성…소상공인·다자녀 가구 무상보험 지원
- ‘해외코인·예금·주식’ 신고액 94.5조…전년比 45.6%↑
- 전세계 결제·블록체인 전문가 모인다…스테이블코인·기관투자 사례 조명
- DB손해보험, ‘2025년 제3차 소비자평가단 발표회’ 개최
- 김재열 前 SK 부회장 KS인더스트리에 60억 투자…최대주주 등극
- 신한금융, 인터넷진흥원과 디지털 신뢰 혁신기업 글로벌 진출 지원
- 한양대 경영전문대학원, AI 기반 자산관리 최고경영자과정 신설
- 상반기 보험사 순이익 15% 감소…손해율 상승에 수익성 악화
- Sh수협은행, 금융취약계층 위한 ‘섬김금융’ 강화
- 티머니, MZ세대 겨냥 ‘먼작귀 힘내 티머니카드’ 3종 출시
- MG신용정보, 호남권 NPL 투자설명회 4일 광주서 개최
- 아티스트컴퍼니-한국ST거래, K-콘텐츠 기반 STO 발행 협력
- BNK금융, 카자흐스탄 은행법인 개소…중앙아시아 금융벨트 구축 시동
- SGI서울보증, 인도네시아 학교에 IT 학습기기 지원
- 현대해상, 300억 규모 ‘아이마음 캠페인’ 공개…발달장애 아동·양육자 지원
- 생보협회, 제9회 Golden Fellow 인증식 개최…우수 설계사 1,000명 선발
- 7월 은행권 주담대·전세대출 금리 2달 연속 상승
- 8월 기업심리지수 91.0…제조·비제조업 동반 개선
- 권대영 “불법·불공정 무관용…자본시장 신뢰 회복 최우선”
- 하나·국민·농협·기업, 지역재투자 ‘최우수’…신한 ‘양호’ 씨티 ‘미흡’
- NH농협카드, PBA-LPBA 채리티 챔피언십 우승 기념 ‘사랑의 쌀’ 기부
- 회계부정 적발 시 ‘패가망신’…증선위, 과징금 폭탄 예고
- 산업은행법 개정안 국회 통과…산업기금 100조 신설·자본금 45조로 확대
- 여신협회장 ‘공백 장기화’…업계 구원투수 찾기 ‘난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