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국내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2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경기침체로 취약차주들의 현금 여력이 줄고 상환 능력이 떨어진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연체율 상승에 카드업계의 건전성 악화 우려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2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일반 은행의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은 지난 4월 3.6%에서 5월 4.2%로 0.6%포인트(p) 뛰었다. 이는 지난 2005년 5월의 5.0% 이후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일반 은행은 금융지주 아래서 카드 사업을 분사한 시중은행과 IBK기업은행 등 특수은행을 제외한 나머지를 말한다.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카드사를 분사했고, 시중은행으로 바뀐 iM뱅크를 빼면 광주·경남·부산·전북은행 등 지방은행이 대부분이다.
카드 대출은 단기 대출인 현금서비스, 장기 대출인 카드론 등을 포함한다. 하루 이상 원금 연체를 기준으로 한 은행의 카드 연체율은 2023년 12월 2.8%에서 2024년 1월 3.0%로 올라선 뒤 계속 3%대에 머물러왔다.
지난해 10월과 11월 연달아 3.4%를 기록한 뒤 12월 3.1%로 주춤했다. 하지만 올해 1월 3.5%, 2월 3.8% 등으로 급등 조짐을 보였다. 이어 3월 3.5%, 4월 3.6%을 나타내다가 5월 4.2%로 급격히 상승했다. 4%를 넘은 것 자체가 20년 만에 처음이었다.
업계에서는 1·2금융권 대출에 실패한 차주들이 카드론 등으로 소액 자금을 마련하려다 벼랑 끝에 몰렸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용대출 고객 대부분은 1금융권 한도가 차서 오는 경우”라며 “이들은 수백만원 규모의 생활비나 긴급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너무 급한 상황에서는 불법 사금융에 내몰릴 우려도 있다”고 말했다.
경기침체로 차주들이 빚을 갚지 못하면서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대출성 자산 취급을 공격적으로 늘려온 국내 카드사들의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다.
앞서 올해 1분기 국내 신용카드사 8곳(삼성·신한·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의 실질 연체율은 1.93%로 전년 동기(1.85%) 대비 0.08%포인트 올랐다. 이는 10년 만에 최고치다. 실질 연체율은 대환대출 채권을 포함해 1개월 이상 연체된 채권의 비율을 뜻한다.
특히 4곳(KB국민·우리·하나·BC카드)은 실질 연체율이 2%를 넘어섰다. 연체율 2%는 지난 2022년 카드업계 최대 위기였던 ‘카드대란’ 당시에도 2% 후반대를 기록했을 만큼 높은 수준이다.
이처럼 연체율이 상승하고 자산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지자, 카드업계는 리스크 관리 강화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자산 건전성 관리를 과제로 삼고 있다”며 “신용평가 모델을 활용해 연체 가능성이 높은 회원을 선별하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건전성을 제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 ‘가계대출 옥죄기’에 서민 숨통 ‘카드론’도 막혔다
- 경기 둔화·연체율 상승…카드업계 수익성 개선 '먹구름'
- 교보라이프플래닛-티머니, 포인트 제휴 협력
- 새마을금고중앙회, 한국은행 공개시장운영 대상기관 재선정
- 신협재단, 고령사회 대비 화상예방에 2.4억 투입…26만명 혜택
- KB손해보험-데이터유니버스, ICT 기반 사회문제 해결 ‘맞손’
- 농협손해보험, 충남 예산 찾아 수해복구 구슬땀
- 할라프 메트라이프 회장 “한국 고객 건강수명 증진에 기여”
- 교보생명, 집중호우 피해 복구에 2억원 기부…금융 지원 나서
- iM금융그룹, 수해 피해 복구 위한 후원금 지원
- 케이뱅크, 한국은행 RP 매매 대상기관 선정
- JB금융, 상반기 당기순익 3704억원…전년比 0.1%↑
- 카카오페이손보, 장영근 대표이사 연임
- “스타필드 이용 10% 할인”…‘스타필드 신한카드’ 출시
- 토스인슈어런스, 홈페이지 전면 개편…브랜드 명확성 및 정보력 강화
- DB손해보험, 설채현·이기우와 기부하는 펫보험 론칭
- Sh수협은행, 홍수 피해 고객 500억 긴급 금융지원
- 동양생명, KSQI 고객접점 부문 8년 연속 업계 1위 차지
- BNK부산은행, ‘소셜아이어워드 2025’ 금융혁신대상 수상
- 삼성카드, 상반기 순이익 3356억원…전년比 7.5%↓
- 나흘간 전국민 57.1% 소비쿠폰 신청…5.2조 지급
-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퇴임…“韓 경제영토 넓히려 노력”
- 현대카드, 상반기 당기순익 1655억원…전년比 1%↑
- 신한카드, 상반기 순이익 2466억원…전년比 35%↓
- 신한카드, 생성형 AI 기반 사내 플랫폼 ‘아이나’ 구축
- 유남규·여홍철·심석희, 교보생명컵 꿈나무체육대회 방문
- 영세·중소 카드 가맹점 306만곳에 우대수수료율 적용
-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하마평…업권 위기 돌파 과제
- BC카드, 퍼플렉시티 ‘코멧’ 브라우저 활성화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