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밥·치킨·커피·햄버거·피자값 인상 릴레이…가격 인상 확산 조짐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5월 가정의 달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김밥·치킨·커피·햄버거·피자 가격 등이 올라 외식물가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8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 제공 서비스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지역의 지난달 대표 외식 품목 8개의 평균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최대 7%대로 올랐다.
가격 상승 폭이 가장 큰 외식 품목은 냉면으로 한 그릇에 평균 1만1,462원으로 전년(1만692원)보다 7.2% 올랐다. 김밥은 한 줄에 3,323원으로 전년(3,123원)보다 6.4%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비빔밥은 5.7%, 김치찌개 백반·자장면은 4.0%, 칼국수는 3.5%, 삼계탕은 3.1%, 삼겹살은 1.4% 비싸졌다.
이달에는 김밥·치킨·커피·햄버거·피자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가격 인상에 나섰다.
먼저 김밥 프랜차이즈 바르다김선생은 지난 9일 메뉴 가격을 100~500원 인상했다. 대표 메뉴 바른김밥 가격의 경우 기존 4,3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랐다.
치킨 프랜차이즈 굽네는 지난 15일 9개 메뉴 가격을 1,900원씩 인상했다. 고추바사삭 가격의 경우 1만9,900원이 됐다.
파파이스도 같은날 치킨·샌드위치·디저트·음료 등의 가격을 기존 가격에서 100원~800원가량 올리면서 평균 4% 인상했다. 배달 메뉴에는 매장 판매가보다 평균 5% 높은 가격을 차등 적용하는 이중 가격제를 도입했다.
KFC는 지난달 19일 이중 가격제를 도입했고 배달 메뉴의 경우 100∼800원 올렸다.
커피 프랜차이즈 더벤티는 지난 22일부터 카페라떼 등 음료 7종 가격을 200~500원 올렸다.
햄버거 프랜차이즈 맥도날드는 오는 5월 2일부터 16개 품목 가격을 100~400원 인상한다.
피자 프랜차이즈 피자헛도 같은날부터 갈릭버터쉬림프,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 가격을 올린다. 인상 폭은 추후 공지하기로 했다.
고피자도 지난달 페퍼로니 피자 등 피자 단품 가격을 1,000원씩 올렸다.
이들은 원부자재 가격과 물류비·인건비 등 제반 비용 상승에 따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표했다.
프랜차이즈뿐 아니라 식품·유통업계에서도 가격인상이 단행됐다. 제반비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가격인상이 업계를 막론하고 확산될 조짐이다.
롯데웰푸드의 경우 코코아 가격 상승에 따라 5월 빼빼로와 가나 초콜릿 등 제품 가격 인상을 예고했으나 가정의 달임을 감안해 오는 6월부터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
조미김 제품의 주재료인 원초 가격이 크게 뛰면서 김 업체도 가격인상을 단행했다.
성경식품은 지난 1일 슈퍼마켓 등 일부 유통 채널에서 김 제품 가격을 평균 10%가량 올렸다. 광천김도 같은 날 대부분 품목의 가격을 15∼20% 인상했다.
동원F&B, CJ제일제당 등 대기업도 김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편의점 생필품과 가공품 가격도 오를 예정이다. 세븐일레븐·CU·이마트24·GS25 등 편의점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일부 생필품과 가공식품 가격이 인상될 예정이다. 원부자재 가격이 오르며 제조사의 납품 단가가 인상돼서다.
- 맥도날드, 버거 가격인상…햄버거 3사 가격 인상 릴레이?
- 고물가에 소싱 역량 발휘하는 롯데마트·이마트
- [주간브리핑] 시중은행 외화 단기 차입금 ‘급증’...삼성전자 노조 첫 쟁의
- 코코아 폭등에 롯데웰푸드 가격↑…업계 도미노 인상 우려
- 제과부터 김·생필품·치킨까지…줄줄이 가격인상
- CU, 지역 소주 10% 할인…이마트24·GS25, 새로·진로 가격↓
- CJ제일제당, 조미김 3종 가격 11.1% 인상
- “떡볶이·햄버거도 부담”…외식 물가 상승률, 3년째 전체 평균 상회
- BBQ, 제품 가격 평균 6.3% 인상
- 식품업계 가격인상…6월 먹거리 물가 부담 가중
- 아이스크림 5년새 300~400원 올라…원유 가격 협상 '촉각'
- 사모펀드 인수 프랜차이즈 기업, 우려 깨고 실적↑
- 프랜차이즈 이중가격제 논란…업계 전반으로 확산하나
- 맘스터치, 24일부터 버거 가격 300원 인상
- [2024 국감] 김현정 의원, 굽네치킨 갑질·일감 몰아주기 조사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