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CXO연구소
ⓒ한국CXO연구소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국내 33개 주요 그룹 총수의 주식가치는 올해 1월 초 대비 3월 말 기준 1분기에만 3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국내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0조 클럽에는 삼성 이재용 회장만 이름을 올렸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3일 ‘2023년 1월초 대비 3월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올해 3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이상인 그룹 총수 33명이다. 조현범 한국타이어그룹 회장은 공식적으로 총수는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그룹을 이끄는 위치에 있어 이번 조사에 포함됐다.

33개 그룹 총수의 1월초 주식평가액은 46조4,475억원에서 3월말 49조8,096억원으로 늘어났다. 올 1분기에만 7.2% 수준으로 그룹 총수들의 주식가치가 상승했다. 

올해 1분기 기준 33개 그룹 총수 중 27명의 주식평가액이 상승했고 6명만 감소했다. 조사 대상 그룹 총수 중 80% 이상이 주식가치가 증가했다. 

올해 1분기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김홍국 하림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김 회장은 3월말 기준 하림지주, 하림, 팜스코 3개 주식종목에서 주식을 보유 중이다. 3곳에서 보유한 올해 1월초 주식평가액은 1,765억원으로 집계됐다. 3월말에는 3,832억원으로 3개월 새 2,067억원(117.1%) 넘게 주식가치가 상승했다. 

이는 하림지주 주식종목의 보통주 1주당 주식 가치가 크게 뛰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올해 1월 2일 하림지주의 1주당 주가가 7,310원에서 3월 31일 1만603원으로 오르면서 김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높아졌다.

김익래 다우키움 회장의 주식재산은 올해 1분기 49.9% 늘어났다. 올해 1월초 3,453억원에서 3월말 5,312억원으로 1분기에 1,768억원 이상 주식재산이 많아졌다. 김 회장은 다우데이타, 다우기술, 사람인에이치알, 키다리스튜디오 4곳에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중 김 회장의 보유하고 있는 다우데이타에서 보유한 주식평가액이 올초 3,332억원에서 3월말 5,100억원으로 1,766억원 이상 오른 것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김준기 DB 창업회장의 주식평가액은 3,532억원에서 4,941억원으로 39.9% 상승했다. 김 창업회장이 보유한 DB손해보험, DB하이텍, DB, DB금융투자 중 DB손해보험 주식평가액이 2,600억원대에서 3,100억원대로 높아진 것이 주식재산 상승에 큰 역할을 했다.

이우현 OCI 부회장의 주식재산도 최근 3개월 새 31% 이상 증가했다. 올해 1월 초 939억원 수준에서 3월말 1,230억원으로 늘어 주식재산 1,000억 클럽에 진입했다. 이 부회장이 보유한 OCI의 1주당 주식가치가 7만8,100원에서 10만2,300원으로 30% 이상 오른 영향이 컸다.

조원태 한진 회장의 주식가치도 올 1분기에만 1,385억원에서 1,781억원으로 400억원 가까이 늘어났다. 올해 1분기에만 28.5% 수준으로 주식재산이 증가했다. 조 회장이 보유한 한진칼의 주식가치가 28.7% 높아진 것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올 1분기에만 20% 이상 주식재산이 불어난 총수는 ▲박정원 두산 회장 26.4% 증가(1월초 1,014억원에서 3월말 1,281억원) ▲정몽규 HDC 회장 24.1% 증가 (1,576억원에서 1,955억원) ▲이재현 CJ 회장 20.7% 증가(1조1,102억원에서 1조3,39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33개 그룹 중 올해 1분기 주식재산 증가액이 가장 컸던 총수는 카카오 창업자인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 센터장으로 조사됐다. 김 센터장은 올 1분기에만 5조6,000억원대에서 6조5,000억원대로 주식재산이 늘어났다. 같은 기간 삼성 이재용 회장도 5,527억원 이상 주식평가액이 증가했다.

33개 그룹 총수 중 6명은 올 1분기에 주식가치가 떨어졌다. 주식재산 감소율이 가장 큰 그룹 총수는 최태원 SK 회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1분기 2조4,022억원에서 2조2,401억원으로 주식재산이 6.7% 감소했다. 올해 1월 2일 18만5,000원이던 SK의 1주당 주식가치가 3월 31일 17만2,500원으로 하락하면서 최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줄어들었다.

신동빈 롯데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올해 1분기 7,119억원에서 6,650억원으로 6.6% 줄었다. 신 회장이 보유한 롯데지주(4.3% 감소)와 롯데쇼핑(10.1% 감소) 주식가치가 떨어진 것이 결정적이었다.

최근 배임 및 횡령 혐의 등으로 구속 위기를 맞은 조현범 한국타이어 회장의 주식평가액도 올해 1분기 400억원 이상 줄었다. 올해 초 8,516억원에서 3월말 8,102억원으로 4.9% 감소했다.

1%대로 소폭 하락한 그룹 총수는 ▲이호진 태광 전 회장(1.9% 감소)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1.8% 감소) ▲허창수 GS 명예회장(1.7% 감소) 등이다.

올해 3월말 기준 조사 대상 33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11명이 입성했다.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12조1,497억원)이었다. 이어 ▲서정진 셀트리온 공동의장(7조9,832억원)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6조5,005억원)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3조1,169억원)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2조6,080억원) ▲최태원 SK 회장(2조2,401억원) ▲구광모 LG 회장(2조780억원) ▲방준혁 넷마블 의장(1조3,743억원) ▲이재현 CJ 회장(1조3,397억원)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1조2,382억원) ▲정몽준 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1조2,207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장은 "지난해 주식시장이 하락해 점차 회복하는 수준에서 서서히 오르고 있을 뿐"이라며 "올해 실물 경제 흐름의 움직임에 따라 주식시장도 요동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