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 120곳의 지난해 임직원 인건비는 전년 대비 2조원 넘게 증가했으나 고용은 5,000명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주요 120개 대기업 2019~2022년 4개년 인건비·고용·평균 연봉 비교 분석’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주요 12개 업종별 매출 TOP 10에 포함되는 총 120개 대기업이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120곳 대기업의 작년 기준 임직원 숫자는 77만1,731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77만9,365명이던 임직원 수는 2020년 77만5,310명으로 4,055명, 0.5% 줄었다. 2021년에는 77만6,828명으로 전년 대비 1,318명, 0.2% 늘었다. 지난해는 전년 대비 4,897명, 0.6% 감소했다.
120개 대기업에서 지급한 임직원 총 인건비는 2019년 64조3,282억원,2020년 66조2,873억원, 2021년 74조7,720억원, 2022년 1,731억원으로 늘었다.
2021년 대비 2022년 기준 주요 120개 대기업의 인건비는 3% 늘었지만 고용은 0.6% 감소해 임직원 개인에게 지급되는 연봉 수준은 상승했다. 120개 회사 임직원의 평균 연봉은 2019년 8,253만원, 2020년 8,549만원, 2021년 9,628만원으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1억196만 원으로 억대 연봉에 진입했다.
지난해 기준 120개 대기업 중 임직원 평균 보수가 연봉 1억 클럽에 가입한 기업은 2019년 10곳, 2020년 13곳, 2021년 25곳으로 증가했고 지난해 36곳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 대상 대기업 중 지난해 기준 임직원 평균 보수 순위는 메리츠증권(2억492만원), NH투자증권(1억7,500만원), S-Oil(1억7,107만원), SK텔레콤(1억4,442만원), 미래에셋증권(1억4,056만원), 금호석유화학(1억4,012만원), 카카오(1억3,900만원), 삼성화재(1억3,655만원), 삼성전자(1억3,536만원), SK하이닉스(1억3,384만원) 순이다.
2020년 대비 2021년 임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이 오른 곳은 120곳 중 92곳이나 됐다. 이중 S-Oil은 2021년 대비 2022년 임직원 평균 급여 상승률이 49%로 조사 대상 기업 중 높은 편에 속했다. S-Oil의 2021년 당시 임직원 1인당 평균 연봉은 1억 1478만 원 수준이었는데, 작년에는 1억 7107만 원으로 1년 새 급여가 5629만 원이나 많아졌다.
오일선 CXO연구소 소장은 “자동화와 기계화 시스템 도입 증가 등으로 국내 대기업에서 인건비를 늘려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방식은 이제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시대”라며 “신사업 발굴 등을 통해 기존에 없던 고용을 늘려나가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 삼성그룹, 매출 400조원 넘어서…계열사 7곳 10조 클럽
- 국내 5대 그룹 일본법인 45곳…전체 해외법인의 2%
- [SR산업] 한국CXO연구소, 대기업 평균 급여 남성 8,710만원·여성 5,880만원
- [SR전자IT] "삼성전자, 지난해 임직원 평균 급여 1억3000만원대"
- 삼성전자 '2023 삼성 TV 슈퍼빅세일' 진행
- 그룹 총수 주식가치 3조원 늘어…이재용 회장 10조 클럽 유일
- 삼성화재, 안내견 소재 장애이해 드라마 ‘갈채’ 공개
- 1분기 시총 1조 258곳···1위 삼성전자, 증가율은 에코프로
- 삼성전자, 작년 매출 300조…21년간 매출 '1위' 유지
- 지난해 1,000대기업 영업익 전년比 27% 감소…1조 클럽 30곳 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