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10일 서울 상의회관에서 일본상공회의소 대표단과 간담회를 갖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대응, 탄소중립 협력, 청년 취업 등 민간 경제계간 협력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6년만에 열린 실무 간담회다.
이날 회의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이성우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 박준 대한상의 아주통상팀장, 쿠가이 타카시(Kugai Takashi) 일본상의 국제본부 상무, 니시타니 카즈오(Nishitani Kazuo) 일본상의 부장, 오사토 텟페이(Osato Teppei) 일본상의 서울사무소장 등이 참석했다.
일본상의는 한국의 대한상의처럼 일본 내 대표 경제단체 중 하나다. 국내외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해 전국 515개 상공회의소와 종합적인 의견조율 및 상공업 진흥, 지역경제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다. 일본상의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경제단체로 지난 해 설립 100주년을 맞이한 바 있다.
양측 실무진들은 12년만에 복원된 정상 셔틀외교를 발판으로 미래지향적인 민간 경제협력을 구축해 나가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양측은 제조업 분야에서 분업 형태로 구축된 민간 협력을 반도체, 배터리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한일간 공동대응 필요성을 강구했다. 또 탄소중립, 청년 취업 등과 같은 민간교류 증진 방안에 대해서 협력 범위도 확대해 나갈 것을 다짐했다.
한일상의 회장단회의 개최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한일상의 회장단회의는 지난 2017년에 마지막으로 개최됐다. 양측은 회의가 재개될 수 있도록 준비에 속도를 내기로 합의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은 “한국기업과 일본기업간 몇 가지 분야에서 구체적인 협력을 해 나갔으면 좋겠다”며 “2025년 오사카·간사이 엑스포와 2030부산엑스포가 플랫폼 등으로 연결시키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 봤다”고 말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한일정상회담으로 양국 관계가 정상화 길에 들어서 6년만에 재개되는 한일상의 회장단 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양국 산업계 니즈를 파악하고 협력 과제를 연구해 나갈 예정으로 청년을 위한 교류의 장 마련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양국 상의가 협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 대기업집단 10곳 중 8곳, 최근 5년간 기업 공시부담 늘어
- 대한상의, RE100 이행 위한 중소·중견기업 지원
- 대한상의 "한국 AI 경쟁력 순위 두 계단 하락…AI인재·운영환경 취약"
- 기업 56% "주 69시간 근로 극히 예외적일 것"
- 대한상의 "2045년 전기차 폐배터리서 수산화리튬 2만톤 조달"
- 경영계, 2030년 탄소감축 목표치 조정 "여전히 도전적"
- 베이비부머부터 MZ까지…"미래유망산업 1위는 AI·로봇"
- [SR산업]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부산엑스포 유치 올해 승부수 던져야"
- [SR산업] 대한상의, 저성장 극복 위한 투자활성화 정책 정부·국회에 건의
- 최태원 회장 "메가샌드박스존 도입 필요"
- 대한상의, 한일상공회의소 회장단회의 개최
- 대한상의, 푸드테크협의회와 '한식산업화·푸드테크산업' 협력
- 대한상의, 경제계 최대 하계포럼 '제46회 제주포럼'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