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민 1,01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MZ세대(1985~2010년생)가 5~10년 후 국내 산업을 선도할 유망산업으로 AI·로봇(30%), 반도체(19.2%), 이차전지(11.1%), 콘텐츠산업(7.3%), 제약·바이오(6.4%)를 선정했다고 20일 밝혔다.
X세대(1975~1984년생)와 베이비부머세대(1974년 이후 출생) 역시 미래 유망산업으로 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산업을 뽑았다. 4위와 5위 업종은 MZ세대와 달리 X세대는 항공·우주와 콘텐츠산업을, 베이비부머세대는 그린산업(수소·태양광 등)과 항공·우주를 선정했다.
국민 3명 중 1명(36%)이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인 챗GPT를 1번 이상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 사용 경험을 묻는 질문에 호기심에 한두번 사용해 봤다는 답변이 30.2%,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중이라는 답변이 5.6%로 집계됐다. 한 번도 사용해 본적 없다는 응답이 64.2%로 가장 많았다.
세대별로 보면 X세대(42.2%), MZ세대(40.2%), 베이비부머세대(29.2%)순으로 한 번 이상 사용해 봤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챗GPT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보통(62.1%) 혹은 그렇다(26.5%) 답변이 많았다. 그렇지 않다(9.7%), 매우 그렇다(0.9%), 매우 그렇지 않다(0.8%)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국민 10명 중 9명(89.5%)이 챗GPT 결과 내용에 대해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갖고 있는 셈이다.
세대별로는 베이비부머세대(93.1%), X세대(91.5%), MZ세대(83.4%) 순으로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갖고 있었다.
챗GPT의 유용한 기능으로는 정보검색(50.7%), 아이디어 확보(영감얻기)(15.3%), 작문·대필(11.9%), 코딩(11.3%), 요약(7.9%), 기타(3.0%) 순으로 집계됐다.
김문태 대한상의 산업정책팀장은“미래유망산업 관련 조사를 해외에서 한다 해도 결과는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며 “해당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기업은 기술개발에 나서고 정부는 인력양성,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등 전방위 지원을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 [SR산업]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부산엑스포 유치 올해 승부수 던져야"
- [SR산업] 대한상의, 저성장 극복 위한 투자활성화 정책 정부·국회에 건의
- [SR산업] 기업 10곳 중 7곳 "자발적 탄소시장 탄소감축 기여할 것"
- [SR산업] 대한상의, 인도네시아서 ‘아세안 사무총장과 한인상공인연합회와의 대화’ 개최
- [SR재계] 최태원 회장, 포르투갈 리스본서 총리 대면…부산엑스포 유치 기원
- [SR산업] 대한상의, 중소·중견 협력사 ESG 진단·컨설팅 나서
- [SR산업] 대한상의, 상공의 날 기념 주간…상공의 날 50년 키워드는 '3E'
- 대한상의 "한국 AI 경쟁력 순위 두 계단 하락…AI인재·운영환경 취약"
- 대한상의·일본상의, 6년만에 '실무 간담회'…최태원 회장, "구체적 협력"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