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영업이익 369억원으로 안정적 수준…투자영업이익 924억, 흑전
지급여력비율 141.6%로 전분기 대비 12.1%p 개선…CSM 2조 2,680억
[SRT(에스알 타임스) 문재호 기자] 롯데손해보험은 4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이 99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97억원)에 비해 42.0% 늘었다고 밝혔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1,2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892억원)보다 45.0% 증가했다.
3분기 누적 보험영업이익은 369억원으로 장기보장성보험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지난 1분기 ‘도달 연령별 손해율 가정’ 등 제도변화의 일시적·일회성 영향으로 보험영업손실 112억원을 기록했으나, 2분기와 3분기 안정적인 성과를 시현했다.
롯데손해보험의 3분기 누계 투자영업이익은 924억원으로 큰 폭의 개선세가 이어졌다. 이는 지난해 3분기 누적 투자영업손실 109억원에 비해 흑자전환한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영업이익 안정화는 지속적인 체질개선 노력의 성과로 해석된다. 롯데손해보험은 지난 2019년 10월 대주주 변경 이후 수익증권 선제적 매각, 채권 등 안전자산 확보, 요구자본 감소 등 ‘투자 자산 리밸런싱’을 시행해왔다.
안정적 경영실적과 체질개선 노력에 힘입어 지급여력비율(K-ICS)은 금융당국의 권고수준을 넘어섰다.
롯데손해보험의 2025년 9월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K-ICS)은 141.6%를 기록해, 6월 말의 129.5%에 비해 12.1%포인트 상승했다. 지속적인 보험계약마진(CSM) 성장에 기반한 보험영업이익의 안정적 창출과 리밸런싱을 통한 투자영업이익 제고의 성과로 풀이된다.
주력 상품인 장기보장성보험의 3분기 누적 원수보험료는 1조8,853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의 1조7,765억원에 비해 6.1% 늘었다. 장기보장성보험이 전체 원수보험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4%였다.
미래 보험영업이익의 원천이 되는 보험계약마진(CSM)은 2조2,680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까지 유입된 신계약 CSM은 3,147억원으로, 이 중 3분기에 유입된 규모는 1,012억원에 달했다.
한편 롯데손해보험은 이번 잠정 경영실적을 분기보고서 제출 이전 공정공시 형태로 공개했다. 회사는 “감사인의 회계검토 과정에서 잠정 경영실적의 일부 내용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보험업 본연의 경쟁력을 높이는 내재가치 중심 경영을 통해 안정적인 이익 창출과 미래 가치 확보를 이어나가고 있다”며 “체질개선을 통해 K-ICS를 포함한 경영지표 가 지속적으로 우상향하고 있다”고 밝혔다.
- 롯데손보, 2025년 임시주총 개최…이호근 사외이사 선임
- 롯데손보, 전세사기 법률 비용 보험 출시
- 롯데손해보험, 2000원짜리 ‘제주 갈 땐 보험’ 출시
- 롯데손해보험, 2Q 당기순익 362억…전년比 55.2%↑
- 롯데손해보험 ‘앨리스’ 출시 2주년…누적 유입 고객 636만명 달성
- 롯데손보, 적기시정조치 초읽기… 자본확충 계획 못내놔
- 롯데손해보험, 이륜차 ‘대물 최대 1억’ 고보장 시간제 보험 출시
- 한·중, 70조원 규모 통화스왑 5년 연장…“역내 금융안정 기여”
- 금융위, 롯데손해보험 ‘경영개선권고’…적기시정조치 사유 해소 못해
- 롯데손보 “금융당국, 경영개선권고 부과 위법 가능성 有”
- 롯데손보, 금융당국 ‘적기시정조치’에 행정소송 추진
- 롯데손보, 금융당국 경영개선권고 불복…행정소송 나선다
- 롯데손보, 대장내시경 고객 겨냥 ‘검진갈 땐 용종보험’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