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유안나 기자] 국내 신용카드사들이 다양한 업무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IT 인프라를 강화하고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31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롯데카드는 고객 응대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AI 기반 보이스봇을 고객센터에 도입했다.
롯데카드가 도입한 AI 보이스봇은 자연어 처리 기술과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해 고객 문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응답하는 솔루션이다. 통화 대기 없이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해 상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롯데카드는 향후 머신러닝으로 보이스봇을 학습시켜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고 응대 가능한 문의 유형을 확대할 예정이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고객이 많이 찾는 단순 문의는 AI가 처리하고, 더 복잡한 상담은 전문 상담사가 대응하는 하이브리드 상담 체계를 구축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다.
신한카드는 지난 1월 생성형 AI가 탑재된 고객 상담 지원 시스템 ‘AI-SOLa(아이쏠라)’를 도입했다. 최근에는 생성형 AI 기반 사내 플랫폼 ‘AINa(아이나)’를 구축하고, 이를 임직원 업무 전반에도 적용했다. 아이나는 직원 개개인의 업무 패턴을 학습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업무 자동화 및 전용 업무봇 제작 등을 지원한다. 신한카드는 향후 개인별 전용 비서 기능 등을 추가해 아이나를 고도화할 방침이다.
앞서 박창훈 신한카드 사장은 지난 4일 하반기 사업전략회의를 열고 “미래 성장동력 발굴과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혁신을 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카드업계를 둘러싼 환경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며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된 금융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 사가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리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AI 전담 조직을 구성하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
우리카드는 지난 6월 ‘AI추진팀’을 신설했다. AI추진팀은 AI 운영전략을 수립하고, 새로운 혁신서비스를 발굴하는 작업을 총괄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AI 활용사례와 내부 업무 프로세서를 분석해서 새로운 신사업을 발굴하는 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AI 전담 조직인 ‘AI·빅데이터 담당’을 운영하고 있다. AI 기술을 문서 작성, 시장 조사, 리스크 관리, 고객 상담 및 마케팅 등 다양한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
삼성카드는 AI 전담 조직인 ‘AI·빅데이터 담당’을 운영 중이다. 이들은 내부 직원들이 문서작성, 시장조사, 리스크 관리, 고객상담, 마케팅 등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당 업무 프로세스에 AI를 접목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KB국민카드는 이달 초 AI데이터사업그룹 안에 AI 전략을 수립하고, 해당 전략을 전사 AI 비즈니스에 적용하는 업무를 전담하는 ‘AI센터’를 신설했다. AI센터는 AI 에이전트와 AI 솔루션을 개발하는 작업도 진행한다.
카드업계는 AI 에이전트(AI Agent) 개발에도 힘을 쏟고 있다. AI에이전트는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필요한 작업을 계획·실행할 수 있는 자율형 인공지능 시스템이다. 영업현장과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KB국민카드는 향후 AI 에이전트의 활용 범위를 사내 업무 전반으로도 확대할 계획이다.
BC카드는 AI 에이전트인 ‘모아이(MoAI)’로 사내 지식 질의 응답, 가맹점 심사 자동화, 고객 민원 분류 및 처리 등 반복 업무를 줄이고 있다. 최근에는 결제 기능을 넘어 AI 기반 가맹점 추천과 마케팅 캠페인 등 소비생활을 지원하는 AI 서비스로의 확장을 꾀하고 있다.
이외에도 마스터카드와 페이팔 역시 최적 결제 수단 추천, 가맹점과 소비자 간 양방향 네트워크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에이전트 적용을 본격화하고 있다.
서유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AI가 결제 능력을 갖추면서 상거래의 주도권이 소비자에서 AI로 이동하는 ‘에이전틱 커머스(Agentic Commerce)’ 시대가 도래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 카드사와 핀테크 기업들도 결제 경험 고도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AI 에이전트 기반의 결제 인프라를 전략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롯데카드, ‘띵크어스 파트너스 3기’ 모집…ESG 실천 기업 지원
- 롯데카드, 고객센터에 인공지능 기반 보이스봇 도입
- 2분기 카드 승인금액 313조원…전년比 3.7% 증가
- 하나금융·KOSA, AI·소프트웨어 성장 위한 맞손
- 현대카드, 상반기 당기순익 1655억원…전년比 1%↑
- 삼성카드, 상반기 순이익 3356억원…전년比 7.5%↓
- 신협, 수원특례시 사회적경제박람회 참여
- DB손해보험, 에코나우와 ‘환경책임보험 청소년환경캠프’ 참가자 모집
- AXA손해보험, 사단법인 블루크로스와 의료봉사 실시
- 신용보증기금·경상북도·아이엠뱅크,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맞손’
- iM캐피탈, 전사적 디지털 혁신 가속화
- BNK경남은행, 4대 공적연금 신규 고객…5만원 캐시백
- 금융위, 8월 중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가이드라인 만든다
- “유니콘 발굴에서 AI 육성까지”…디지털 생태계 확장하는 신한금융
- 농협손해보험, 인공지능 컨택센터(AICC) 구축 착수
- 현대캐피탈 다이렉트카, ‘나만의 차 주문하기’ 론칭
- iM라이프, ‘마이솔루션AI변액연금S’ AI로 자산관리 기능 고도화
- KB라이프생명사회공헌재단, 보육원 아동과 봉사활동 실시
- 미래에셋생명, 변액보험 신규 고객 추가납입 수수료 무료
- 교보교육재단, ‘2025 교보 글로벌 체인지’ 개최
- iM사회공헌재단, 한국부동산원과 ‘단비 사랑나눔’ 사업 진행
- 하나손해보험, ‘차대차 자동차사고 입원비·통원비 특약’ 출시
- 동양생명, 성대규 대표 취임 후 첫 소통의 자리 마련
- 하나금융그룹, 혹서기 취약 어르신을 위한 봉사활동 실시
- 쿠콘, 현대해상 외국인 보험 가입 서류 간소화 지원
- 신한카드 “토플, GRE 응시료 할인 받으세요”
- SC제일은행, ‘SC제일 하이통장’ 첫 거래 시 2.6% 금리 제공
- 롯데손해보험 ‘앨리스’ 출시 2주년…누적 유입 고객 636만명 달성
- 캐롯, AI로 제작한 광고 영상 ‘디지털 유니버스’ 공개
- ABL생명, ‘AI 기반 보험상품 추천 서비스’ 도입
- DB손해보험, ‘국회환경생태기상ICT융합포럼’ 몽골서 개최
- “상속세 걱정 끝”…미래에셋생명, ‘헤리티지 라이트 종신보험’
- 교보라이프플래닛, 빚 대물림 막는 대출안심보험 출시
- “광화문에 잘못 그려진 태극기가!”…남상락 자수 태극기 사연은?
- 롯데카드, ‘굿네이버스 레이스 with 띵크어스’ 참가자 모집
- 은행연합회, 쪽방촌 주민 위해 냉난방물품 등 5억원 기부
- 메트라이프생명, 고객 출산 축하 프로그램 ‘With U Baby’ 캠페인 실시
- “셋째 낳으면 2천만원”…KB손해보험, 저출생 극복 지원 확대
- 농협손해보험, 가평 포도 농가 수해복구 지원
- 현대캐피탈, 이주배경 청년 맞춤형 금융교육 진행
- 미래에셋생명, 헤리티지 변액정기보험 무배당 출시
- “13.2TB 정보 빼갔다” 주장에…SGI서울보증 “유출 정황 없어”
- 티머니모빌리티, 제주도 택시 전자영수증 서비스 개시
- “대체부품 못 믿겠다”…소비자 반발에 한 발 빼는 정부
- 영세·중소 카드 가맹점 306만곳에 우대수수료율 적용
- 차기 여신금융협회장 하마평…업권 위기 돌파 과제
- KB국민카드, 단풍 절정기 명산 상권 26%↑
- 삼성카드, 3분기 순이익 1617억원…전년比 4.2%↓
- 우리카드, ‘유튜브 웍스 어워즈 2025’ 파이널리스트 선정
- 삼성카드, 시니어 고객 보호 제도 강화
- BC카드, 퍼플렉시티 ‘코멧’ 브라우저 활성화 나서
- 삼성카드, 프리미엄 신상 'THE iD. 1st'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