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국 주택 건설 실적. ⓒ국토교통부
▲2월 전국 주택 건설 실적. ⓒ국토교통부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영향으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30% 이상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은 46% 이상 증가했다.

미분양 주택은 소폭 줄었지만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증가세를 유지하며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3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5만698건으로 전월 대비 32.3%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세 거래량은 27만6,238건으로 전월 대비 38.6% 늘었다.

수도권 매매거래량은 2만4,026건으로 전월 대비 34.6% 늘었다. 비수도권도 2만6,672건의 매매 거래가 이뤄지며 전월 대비 30.3%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수도권 전월세 거래는 17만6,506건으로 전월 대비 35.4% 늘었고 비수도권은 10만1,732건으로 전월 대비 44.6% 증가했다.

이 가운데 지난달 미분양 주택은 7만61호로 전월 대비 3.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부터 증가세를 지속하다 석 달 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하지만 악성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분양이 2만3,722호로 전월 대비 3.7% 늘어나면서 지난해 12월 이후 석 달 연속 2만 가구를 상회하고 있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2만3,000가구를 넘은 것은 2013년 10월(만3,306호) 이래 처음이다.

지난달 전국 주택 인허가는 1만2,503호로 전월 대비 44.3% 줄었다. 1~2월 누계 인허가(3만4,955호)도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8.3% 줄었다. 특히 지난달 수도권 인허가(7,300호)가 전월 대비 53.7%, 절반 이상이 줄었다.

주택 착공은 지난달 1만69호로 전월 대비 1.1% 줄었지만 1~2월 누계(2만247호)로는 전년도 같은 기간 대비 40.6% 급감했다. 2월 분양(승인기준)도 5,385호로 27.6% 줄어든 가운데 수도권 분양은 전무했다. 같은기간 준공은 3만6,184가구로 13.3% 줄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