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로교통연구원,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현대제철 등
제강슬래그 품질 기준 마련 위한 협동연구·기술교류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포스코가 18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현대제철 등과 철강부산물 활용 고속도로 건설 및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제강슬래그를 고속도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4자간 협동 연구와 기술 교류를 통해 제강슬래그 골재의 품질 기준 제정 등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제강슬래그의 품질 확보 방안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도로교통연구원은 도로포장 기준 개정 협조를,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는 제강슬래그 활용에 대한 환경부의 제도 개선 등의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제강슬래그는 쇳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분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제강 공정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철강부산물이다. 이는 천연자갈, 모래 등과 같은 천연골재 대비 높은 강도를 가지는 유용한 대체자원이지만 그동안 도로 건설공사 시 성토용 등 기초 골재로만 활용돼왔다.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고속도로의 아스팔트 포장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고품질의 고속도로 포장을 위해 필요한 1등급 천연골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천연골재의 고갈 현상, 대형차량 통행량 증가와 이상기온으로 더욱 빈번해지는 도로 파손문제 해결 등을 위해 도로 수명을 증가시키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구성이 높은 제강슬래그를 활용한 아스팔트 도로 포장이 주목받고 있다.
포스코는 올해 처음 제강슬래그의 아스팔트 도로포장 적용을 시작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골재로 제강슬래그 활용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또한 이번 협력을 기반으로 제강슬래그 골재의 안정적인 품질 확보와 생산을 통해 앞으로 신규 고속도로 건설과 도로포장 유지보수에 제강슬래그 활용을 확대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남민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장은 “이제 환경을 고려한 고속도로 건설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환경을 생각하는 고속도로 건설기술 개발을 위해 학회와 민간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조경석 포스코 환경에너지기획실장은 “포스코는 철강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의 자원화 목표를 설정하는 등 순환경제 사회 구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제강슬래그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부가가치를 제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포스코는 앞으로도 부산물의 활용처 발굴과 재활용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자원화율을 높이고 순환경제 사회 구현에 기여할 계획이다.
- 현대제철·현대건설, 탄소저감형 건축모델 구축 ‘맞손’
- 장인화 포스코 회장, ”현장 안전보다 중요한 것 없어“…TFT 발족
- K-철강, 공장 폐쇄로 생산 물량 줄이기 ‘안간힘’
- 신한은행, 현대제철에 공급망금융 제공
- 포스코 포항제철소, 1제강 이어 1선재 폐쇄
- 현대제철, 경북 포항2공장 폐쇄…中 밀어내기·업황 불황 여파
- 포스코 포항제철소서 대형화재…소방당국 진화 나서
-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용 실리콘음극재 생산체제 완성
- 포스코홀딩스, 올해 3분기 영업이익 7,430억원…전년비 37.9% 감소
- ‘실적도 부진한데’…철강업계, 건설경기 악화·원가부담 ‘겹악재’
- 포스코그룹, 인도 제철소 건설 추진…현지 JSW그룹 합작
- 현대제철·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철강 품질 고도화 추진 ‘맞손’
- 포스코그룹, 연말 이웃돕기 성금 100억원 기탁
- 포스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15년 연속 1위 선정
- 포스코 노사, 2024년 임금교섭 조인식 개최
- 포스코그룹, CES 2025서 벤처육성 프로그램 성과 소개
- 현대제철, 작년 영업이익 3144억원…전년比 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