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1시 명동상권에 있는 음식점이 즐비한 골목 전경.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박현주 기자
▲10일 오후 1시 명동상권에 있는 음식점이 즐비한 골목 전경. 사람들로 붐비고 있다. ⓒ박현주 기자

'명동존' 점원들, "계엄 이후 관광객 줄어…저녁엔 더 없어"

[SRT(에스알 타임스) 박현주 기자] "계엄 전에는 문밖으로 줄이 있을 정도였는데 확 줄었다"

명동 한 음식점에서 대기줄을 정리하던 50대 여성 A씨는 "외국인 관광객이 줄었나"는 기자의 질문에 이같이 토로했다.

​최근 계엄 선포 해제와 탄핵 정국으로 어수선한 분위기인 가운데 유통업계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는 볼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한때 비상계엄령을 선포한 이후 일부 해외 국가들은 한국을 '여행위험 국가'로 지정했고, 비자 발급도 중단했다. 

​그러면서 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특히 많은 곳으로 잘 알려진 명동 상권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10일 기자는 낮 12시 명동역으로부터 이어지는 골목상권을 찾았다.

▲K뷰티 로드샵이 즐비한 명동거리. ⓒ박현주 기자
▲K뷰티 로드샵이 즐비한 명동거리. ⓒ박현주 기자

길거리를 오고가는 외국인들이 많이 보였다. 캐리어를 끌고 오고가거나 아기를 유모차에 태우고 가족끼리 삼삼오오 이동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꽤 많이 눈에 띄었다.

​명동거리 길목에서 모여 '맛집'을 휴대폰으로 검색중이던 40대 필리핀 여성들은 "여행차 왔다"고 했다. 이어 '계엄사태"에 대해 묻자 "모른다"며 고개를 저었다.

또, '애플 명동'을 찾던 20대와 40대 일본인 남성들에게 같은 질문을 하자 역시 "모른다"고 답했다.

'계엄'이 무색할 정도였다. 코로나19 이후 한동안 명동이 '황량'했던 당시에 비하면 사람들이 붐비고 있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실상 명동거리에 있는 매장 점원들은 "계엄 이후 확실히 외국인 관광객이 줄었다"고 한 목소리를 냈다.

또, "날도 춥고, 원래는 크리스마스 장식 등으로 연말 분위기가 더 나는 느낌인데다가 오후 4시 이후부터는 노점이 열려 사람들이 붐볐는데 계엄 이후부터는 사람이 확 줄었다는 것을 더 체감할 수 있더라"고 입을 모았다.

​특히 명동상권은 다양한 뷰티 로드샵이 즐비한 것이 특징으로 K뷰티 열풍에 따라 외국인 방문객들의 방문 매출이 늘고 있다. 상품을 둘러보고 체험하거나, 가족용 선물, 여행기념품으로 사가고는 하는데 찬물을 끼얹는 꼴이 된 것.

한 뷰티로드샵 40대의 매장 점원은 "계엄사태 이후 그 이전보다 외국인 관광객 방문이 줄었다, 저녁이면 더 없다"며 "주변 샵들 대부분 비슷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가뜩이나 어려웠는데, 더 어려워졌다"고 말을 꺼냈다.

​명동거리 안에 있는 20대 한 편의점 점원도 "체감하기에 계엄사태 이후에 외국인 관광객들 방문이 줄었다. 외국인만 아니고 내국인 방문도 줄었다"고 했다.

▲ⓒ박현주 기자
▲음식점이 즐비한 명동 골목. ⓒ박현주 기자

점심 때가 되자 또다른 명동 골목은 사람들로 붐볐는데, 인근 다른 음식점보다 더 붐벼 보이는 음식점 점원에게 "왜 이곳은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 거냐"고 묻자 대기줄을 정리하던 50대 여성은 "원래는 문밖으로 더 길게 나올 정도로 대기줄이 길었는데 이 정도가 줄은 것"이라며 "외국인 관광객이 줄었다, 우리가 오지 말라고 한 것도 아닌데"라고 토로했다.

외국인 관광객이 줄고 있다는 것은 당장 가사회된 계엄 리스크로 볼 수 있다. 이외에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부담 요인도 많다.

당장 유통가는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 이후 매출에서 큰 타격을 입은 것은 아니다. 다만 계엄 이후 탄핵정국으로 흘러가면서 중장기적으로 유통업계가 떠앉을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미 내수 시장이 위축된 상태에서 정치적 불안감까지 겹치면 소비 시장이 냉랭해질 가능성이 크다.  ​이는 백화점, 마트, 편의점, 온라인쇼핑몰 등 유통업종 가릴 것 없이 수익악화에 영향을 미치며 시장 고용과 물가에 영향을 주게된다. 더군다나 소상공인 등 유통취약계층은 더 큰 손실을 입게 된다. 일례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기인 2016년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기준치 100을 밑돌았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민심이 흉흉한 데 소비할 여력이 나겠나"라면서도, "경제가 살기 위해서는 예산이 있고 투자하면서 선순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앙정부는 예산안 처리, 조기 집행 등으로 시장 안정에 힘쓰고 지역경제 선순환을 위해서는 지역구, 지방자치단체 등을 중심으로 소비를 적극적으로 권장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특히 훌륭한 대한민국 국민이니 흔들림없이 일상의 삶을 영위하려는 자세가 필요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