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G모빌리티 코란도 EV 충전 모습. ⓒKG모빌리티
▲KG모빌리티 코란도 EV 충전 모습. ⓒKG모빌리티

화재예방충전기 대응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 완료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KG모빌리티가 전기차 화재에 대한 예방 대응책의 하나로 정부에서 보급 확대를 추진중인 스마트충전기(화재예방충전기)에 대응이 가능한 차량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KG모빌리티는 스마트충전기 제조사를 대상으로 호환성 테스트에 착수했다. 

전기자동차 화재 예방을 위한 기술적 해결책으로 환경부는 스마트충전기(화재예방충전기)에 대한 기술기준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이를 보급할 예정이다. 최근 정부는 화재예방 대책으로 이를 내년에 9만대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환경부의 스마트충전기 보급 배경에는 전기차 화재 원인 중 대국민 불안감이 큰 배터리 열폭주 현상의 예방을 목적으로 이를 사전에 감지해 제어하는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려는 목적이 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스마트충전기는 충전중에 배터리 상태 정보를 정해진 주기별로 수집해 배터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기능과 배터리 충전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해 전기차 충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충전기다. 배터리 상태 정보에는 차량VIN, SOC, SOH, 배터리팩ID, 배터리팩전류, 배터리팩전압, 배터리모듈(그룹)온도 등이 있다. 

▲KG모빌리티 토레스 EVX에 탑재되는 LFP 배터리. ⓒKG모빌리티
▲KG모빌리티 토레스 EVX에 탑재되는 LFP 배터리. ⓒKG모빌리티

스마트충전기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충전서비스 사업자 서버로 통신프로토콜(OCPP)을 이용해 전송된다. 이는 다시 환경부의 배터리 빅데이터 센터로 전송되며 전문적인 진단 서비스 기술을 이용해 전기차 화재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제어 명령을 충전기로 전송하도록 했다. 

KG모빌리티는 전기차 보급확대와 화재예방을 위한 환경부 정책에 적극 협조하기 위해 2023년 국내 전기차 제조사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 상태 정보 제공에 동의했다. 지난 7월말에는 전기연구원과 공동으로 배터리 정보 제공이 가능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EVCC(EV Communication Controller)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했다. 

현재 KG모빌리티는 스마트충전기 보급 확대에 기여할 목적으로 전국 스마트 충전기 제조사를 직접 방문해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KG모빌리티에 적용되는 배터리셀은 용량이 커서 팩당 구성되는 셀의 개수가 최소화된 122개로 셀 불량에 따른 열전이로 인한 팩의 화재 가능성을 현격하게 낮췄다고 회사 측은 강조했다. 

KG모빌리티 관계자는 “이번 스마트충전기 제조사 대상 호환성 테스트 시행은 실용적이며 창의적인 제품으로 안전하고 즐거운 모빌리티 경험 제공이라는 제품개발 비전을 바탕으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전기차와 배터리 개발을 추진해왔다”며 “이러한 KG모빌리티의 고객 안전 중심의 개발 방향을 통해 전기차 안전성을 강화하고 전기차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