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중수 알뜰폰 전문매장 ‘알뜰폰+’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중수 알뜰폰 전문매장 ‘알뜰폰+’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LG유플러스

금융권도 알뜰폰 사업 진출…통신사 위협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정부의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저가요금제 추진으로 프리티·이야기모바일 등 중소 알뜰폰 업체의 위기감이 커졌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단말기유통법을 개정하면서 공시·전환지원금이 자율 상향돼 이통 3사의 지원금 정책이 이제 알뜰폰 고객을 흡수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3일 각 사에 따르면 지난 3월 SK텔레콤은 3만원대 5G 요금제와 2만원대 온라인 전용 ‘다이렉트 요금제’를 내놨다. KT는 지난 1월 5G 중저가 요금제 10종과 다이렉트 요금제 ‘요고’ 8종을 선보였다. LG유플러스도 지난해 10월 초개인화 맞춤형 요금제 ‘너겟’을 출시하고 고객이 본인의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5G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는 16종을 공개했다. 

지난해 3만원대 알뜰폰 요금제를 선보였던 이통 3사 자회사 알뜰폰 업체들도 위기감이 큰 것은 중소 알뜰폰 업체와 비슷하다. 이통 3사의 자회사 알뜰폰 업체는 총 5곳(SK텔링크, KT엠모바일, KT스카이라이프, 미디어로그, LG헬로모바일)으로 이들의 시장점유율은 약 43%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KT엠모바일 관계자는 “저가요금제 출현으로 알뜰폰의 유리한 점이 희석된 것은 사실”이라며 “작년 가입자 통계를 살펴보면 가입자 이탈 움직임이 포착됐다”고 말했다. 

이통 3사 자회사라고 해도 알뜰폰 업계는 공시·전환지원금이 존재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아닌 무약정 요금제와 유심 판매로 알뜰폰이 운영되기 때문에 지원금 관련 해당 사항이 없다. 

알뜰폰 사업만 영위하는 전업통신사들인 중소·중견 사업자들의 상황은 더 어려워졌다. 단통법 폐지로 인해 통신망 사용과 관련한 우선(의무)협상 대상자인 SK텔레콤과 알뜰폰 업체와의 교섭에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참석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알뜰폰 업체가 단독으로 SK텔레콤과 협상을 해야하는 만큼 불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비싼 망 사용료는 알뜰폰 사업자들에 원가부담으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 더욱이 알뜰폰 사업은 허가제가 아닌 등록제여서 현재 운영중인 사업자 수도 많은 편에 속한다. 출혈 경쟁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나아가 금융권에서도 알뜰폰 사업에 진출해 은행 창구에서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조만간 우리은행도 알뜰폰 사업에 진출할 태세다. 

알뜰폰 판매 채널은 급증하는데 반해 이통 3사의 저가요금제로 가격경쟁력이 줄어든 알뜰폰 업계는 '울상'을 지을 수밖에 없다. 

알뜰폰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통신비 경감 대책과 맞물려 금융권의 알뜰폰 진출 사업에 위협을 느낀 이통 3사들이 저가요금제 출시에 나섰다”며 “알뜰폰 업계는 알뜰폰만의 가치로 승부해 가입자 수를 꾸준히 늘려나가는게 전략”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