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카오 T 배차·라우팅·수요예측 기술
LG전자 클로이 서브봇 ‘브링온’ 탑재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과 자체 로봇 오픈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플랫폼 ‘브링온’을 출시하고 서비스 상용화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브링은 배송 로봇과 브링온이 결합된 상품이다. 식음료 배달, 사무실 내 우편 배달, 호텔 내 컨시어지 서비스 등 고객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로봇으로 수행할 수 있다.
브링은 플랫폼 제어를 통해 사무실·호텔·아파트·병원 등 로봇을 고려해 설계되지 않은 기존 건물에도 바로 배치해 운영할 수 있다. 브링온은 오픈 API 기반으로 다양한 배송 주문과 로봇을 연동해 배송 서비스의 유형이나 로봇의 기종에 제약받지 않고 고객 환경에 맞춰 서비스를 구성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췄다.
특히 브링온에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축적해온 인공지능(AI) 최적 배차, 수요예측, 라우티 등의 모빌리티 기술이 집약돼 있다. 이를 통해 복잡한 배송 주문도 플랫폼 상에서 분류하고 각 로봇에 최적으로 배차해 관리자 개입은 최소화하면서 배송의 효율성은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로봇 배송 서비스를 본격화하며 LG전자와도 손을 잡았다. 양사는 2022년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 협약’을 맺고 실내외 자율주행 로봇 배송 서비스 모델을 발굴하기 위한 기술 협력을 지속해왔다.

LG전자는 신규 배송 로봇 ’LG 클로이 서브봇(양문형)’에 카카오모빌리티로부터 브링 플랫폼을 도입하고 완성도 높은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오는 25일 LG전자와 함께 서울 성수동 ‘누디트 서울숲’에 브링을 도입하는 것을 시작으로 로봇 배송 서비스를 본격 선보인다. 누디트는 상가동과 사무동이 함께 조성된 복합문화공간이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배송 로봇이 지하 2층 메일함에서 우편물을 수령하고 상가동 5층 카페테리아에서 음료를 받은 뒤 3층으로 내려와 사무동 엘리베이터를 갈아타고 6~11층 사무실에 있는 직원 각각에게 배송할만큼 복잡한 주문도 무리 없이 소화해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연구소장은 “카카오모빌리티의 플랫폼 기술이 집약된 브링은 어떤 서비스라도 어떤 로봇이라도 연동 가능한 확장성이 특징”이라면서 “로봇 기술이 먼 미래가 아닌 현재 일상에서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고 일상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기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LG전자, ‘모덱스’서 물류 서비스·산업용 로봇 라인 선봬
- 카카오모빌리티, 케이팝 팬 위해 ‘콘서트 이동 서비스’ 제공
- LG유플러스, 원격관제 플랫폼 ‘안내·배송로봇’ 공개…사업영역 확장
- 카카오모빌리티, 택시업계 상생재단 설립한다…3년간 200억원 출연
- ‘LG 클로이’ 로봇, 호텔 서비스 고객경험 혁신 이끈다
- 요기요, 카카오모빌리티와 배달 업무 확대 위해 ‘맞손’
- LG전자, 안내·배송로봇 ‘클로이’ 동남아 진출
- LG전자, 카카오모빌리티에 ‘클로이 서브봇’ 공급
- 카카오모빌리티-서울시, 전기차 ‘오토차징’ 서비스 선봬
- 카카오-환경부, 탄소중립 실천 확산 ‘맞손’
- 카카오모빌리티, 지역사회 상생협력 행보 이어가
- LG전자, 한림대 성심병원과 ‘로봇 서비스’ 발굴 협약
-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제주대학교, 자율주행 산업 육성 가속화
-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청장, 카카오모빌리티 찾아 ‘AI·모빌리티’ 기술 청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