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판교 사옥 방문해 AI·모빌리티 기술협력 방안 논의…기술 혁신 사례 소개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사우디아라비아 데이터인공지능청(SDAIA) 방문단이 판교 사옥을 방문했다고 28일 밝혔다.
사우디 데이터인공지능청 방문단은 인공지능(AI)과 이동 데이터에 기반한 카카오모빌리티의 미래 모빌리티 기술을 살펴보고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방문에는 압둘라 빈 샤라프 알감디 청장을 비롯한 SDAIA 주요 인사들이 함께했다.
카카오 그룹에서는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 장성욱 미래이동연구소장, 유승일 최고기술책임자, 유영중 최고재무책임자 등이 자리에 참석했다. 또 이상호 최고AI책임자와 신호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CC팀장도 자리를 같이 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율주행·로봇·도심항공교통(UAM)·디지털트윈 등 미래 모빌리티 기술에 대한 비전과 함께 실제 서비스 사례들을 소개했다.
SDAIA 압둘라 알감디 청장 일행은 카카오모빌리티가 판교 일대에서 대시민 서비스로 운행하는 자율주행차를 체험하고 ,판교 사옥에서 운영중인 로봇배송서비스와 모바일 맵핑 시스템(MMS) 로봇도 직접 둘러봤다.

SDAIA는 자율주행과 로봇 배송 등 한국 내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운영 현황과 상용화 가능성에 주목하며 카카오모빌리티의 이동 빅데이터와 플랫폼 운영 노하우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양측은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사우디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심도깊은 논의를 진행했다고 카카오모빌리티는 강조했다.
아울러 카카오모빌리티는 디지털트윈 구축 역량과 관련해 HD맵 구축을 위해 개발한 MMS 장비와 더불어 2021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직접 디지털트윈을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며 모빌리티와 연계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가능성을 제시했다.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이동 빅데이터를 통해 축적해온 기술 인프라와 AI 기술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것”이라면서 “국내에서 자율주행, 로봇, UAM 등의 서비스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지속 노력하는 것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다양한 기술 수출 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모빌리티 플랫폼 전략과 미래 모빌리티 기술 협력을 논의하기 위해 해외 주요 기관의 카카오모빌리티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6월 에이미 코(Amy Khor) 싱가포르 교통부 선임국무장관이 방문해 모빌리티 플랫폼 전략에 대한 간담회를 진행한 데 앞서 2022년 12월에는 자율주행 기술표준기구인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가 판교를 찾아 자율주행 기술을 체험했다.

-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제주대학교, 자율주행 산업 육성 가속화
- HL만도, 카카오모빌리티와 ‘자율주행 주차로봇 서비스’ 상용화 협약 체결
- 충북도, 카카오모빌리티와 공유자전거 이용 협약 체결
- 카카오모빌리티, 지역사회 상생협력 행보 이어가
- 카카오모빌리티-서울시, 전기차 ‘오토차징’ 서비스 선봬
- LG전자, 카카오모빌리티에 ‘클로이 서브봇’ 공급
- 카카오모빌리티, 로봇 배송 서비스 ‘브링’ 선봬
- 카카오모빌리티, 케이팝 팬 위해 ‘콘서트 이동 서비스’ 제공
- 카카오모빌리티, 택시업계 상생재단 설립한다…3년간 200억원 출연
- 요기요, 카카오모빌리티와 배달 업무 확대 위해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