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수요연계·인프라·금융·연구개발 지원 

[SRT(에스알 타임스) 선호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반도체 협력포럼’을 2일 출범시켰다. 

이 포럼은 지난 1월 논의한 ‘반도체 분야 민생토론회’의 후속 조치다. AI 반도체 기술의 발전과 시장 성장 환경에서 반도체 수요·공급기업이 협력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이날 출범식에는 국내 7대 주력산업 분야 대표 수요기업과 IP기업·팹리스·파운더리·후공정 등 반도체 생산 기업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수요·공급산업 협회 간 ‘AI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 업무협약’을 맺었다. 

7대 주력산업 분야는 ▲자동차 ▲기계·로봇 ▲사물인터넷(IoT)·가전 ▲모바일·서버 ▲바이오·헬스케어 ▲에너지 ▲국방 등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글로벌 AI 반도체 동향과 정책제언’ 발표와 ‘수요·공급기업 간 협업사례’ 발표에 이어 AI 반도체의 전체 밸류체인 기업간 정책 간담회도 열렸다. 

정부는 포럼에서 수요·공급기업간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제품개발 매칭 시 수시 선정평가를 통해 개발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시스템반도체 검증지원센터 구축사업을 통해 AI 반도체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시험·검증 서비스를 제공하며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통한 금융 지원고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과 PIM 인공지능 반도체 사업 등 연구개발(R&D) 지원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정부는 기업들의 의견 수렴을 거쳐 AI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범부처 전략을 조속히 마련할 예정이다.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온-디바이스 등 AI가 전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글로벌 기업들의 AI 반도체 개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며 “우리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절호의 기회가 열렸다”고 밝혔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2차관도 “본격적인 AI 일상화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AI 분야 하드웨어 경쟁력을 대표하는 AI반ㄷ체와 이에 대응하는 AI·SW, 클라우드 등이 유기적으로 상호 연계해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각 부처
ⓒ각 부처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