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미국·유럽 증가세...러시아 14년만에 생산량 '0'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현대차그룹이 지난해 해외에서 약 368만대의 완성차를 생산했다. 미국과 인도, 유럽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산량을 늘린 반면 중국에서는 2016년 이후부터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6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가 해외 생산 기지 13곳에서 만든 완성차는 모두 367만8,831대다. 두 회사의 작년 생산량 합산 수치는 2022년 357만4,796대와 비교해 2.9%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 이전인 2019년(388만3325대) 이후 4년 만의 최대 해외 생산량이다.
지난해 현대차는 미국과 인도, 중국, 튀르키예, 체코, 브라질,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8곳에서 224만3,069대를, 기아는 미국과 중국, 슬로바키아, 멕시코, 인도 등 5곳에서 143만5,762대를 각각 생산했다.
현대차그룹은 신흥시장 인도와 튀르키예, 체코, 슬로바키아와 자동차 선진시장 미국에서는 코로나 이후 꾸준히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인도에서는 작년 한 해 다른 곳보다 많은 108만4,878대를 생산했다. 이는 양사가 인도에서 기록한 역대 최다 연간 생산량이다.
미국은 72만7,000대로 2016년(74만9,120대) 이후 7년 만에 최다 연간 생산량을 보였다. 중국은 39만4,249대로 2022년 41만2,333대보다 줄었다.
러시아에서는 지난해 완성차가 전혀 만들어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는 러시아 내 판매 부진 속에 지난해 3월부터 현지 생산을 중단한 데 따른 것이다. 러시아 공장은 2012년 이후 10년간 매년 20만대 이상 꾸준히 생산했다. 현대차 러시아 공장은 지난달 러시아 업체에 매각됐다.
싱가포르에서는 현대차가 처음으로 595대를 생산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미래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생산, 실증하는 신개념 ‘스마트 도심형 모빌리티 허브’인 현대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를 구축해 아이오닉5와 자율주행 로보택시를 만들고 있다.
기타 국가는 슬로바키아(35만224대), 체코(34만500대), 멕시코(25만6,000대), 튀르키예(24만2,100대), 브라질(20만4,300대), 인도네시아(7만9,580대)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집계에는 베트남 등에서 운영 중인 부품을 수입해 현지에서 조립·판매하는 KD 방식 공장 생산량은 빠져 있어 이를 포함하면 전체 생산량은 더 늘어날 수 있다.
- 한화큐셀, 현대차 사업장 유휴부지에 20MW 태양광 모듈 공급
- 현대차·기아, 지난해 인도서 108만대 이상 생산…역대 최다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룰라 브라질 대통령 면담…“2032년까지 11억 달러 투자”
- 테슬라·현대차 등 6개사 리콜…총 5만4,792대
- “전기차 전주기 책임진다”…현대차 ‘EV 에브리 케어’ 출시
- 현대차, 카이스트와 차세대 라이다 개발 위한 공동연구실 설립
- 현대차, 글로벌 신용등급 상향 행진…국내 ‘AAA’ 복귀 기대감
- 기아 인증중고차, 오프라인 방문 예약 서비스 런칭
- 현대차, 생물다양성 보존 캠페인 ‘컬러풀 라이프’ 진행
- 현대차, 2027년까지 수도권 버스 1,000대 수소버스로 전환
- 현대차, 3월 신입·인턴 사원 채용 실시
- 현대차, '더 뉴 아이오닉 5' 출시…전 트림 가격 동결
- 기아, 지난달 24만2,656대 판매…전년比 4.6%↓
- 현대차, 지난달 31만4,909대 판매…전년比 4.1% ↓
- 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4’ 참가…새로운 모빌리티 경험 선봬
- KAMA, 2024년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분과 회의 열어
- 현대차, ‘블루오션’ 아세안 공략 속도 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