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서울 수서 지역 아파트 시공 과정에서 철근이 누락됐다는 의혹과 관련해 압수수색을 받게 됐다.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는 28일 수서 역세권 아파트 철근누락 의혹과 관련해 LH 본사를 압수수색하며 수사에 착수했다.
이날 오전 9시께 경찰은 경남 진주시 LH 본사와 서울에 있는 수서 역세권 아파트 설계·감리 업체 사무실, 이들 업체 대표 주거지 등 7곳에 수사관을 보내 설계·시공·감리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경찰은 확보한 자료를 통해 무량판 구조 설계 오류와 시공 누락, 부실 감리 등 LH 조사 결과에 따른 부실공사 의혹의 법적 책임을 가릴 계획이다.
앞서 LH는 철근이 누락된 20개 공공아파트 단지의 설계·감리업체 41곳, 시공업체 50곳 등 모두 91개 업체를 지난 4일과 14일 두 차례에 걸쳐 경찰에 수사의뢰했다.
LH는 이같은 부실시공이 건설기술진흥법·주택법·건축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해서다. 경찰은 각 아파트 단지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도경찰청 9곳에 배당한 뒤 강제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LH 압수수색은 광주경찰청이 광주 선운2지구 아파트와 관련해 지난 16일 처음 진행했다. 이어 지난 25일에는 경남경찰청이 양산 사송단지 2곳과 관련해 LH 본사, 양산사업단 등 3곳에서 자료를 확보했다. 경기북부경찰청도 같은 날 LH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아파트 단지별로 배당받은 사건은 경기북부경찰청이 6건으로 가장 많다. 이어 ▲경기남부경찰청 4건 ▲충남경찰청 3건 ▲경남경찰청 2건 ▲서울·인천·광주·충북·전북경찰청이 각각 1건을 수사 중이다.
- [기자수첩] LH 용역 전관 카르텔도 문제지만 감리도 문제다
- '해체 수준 혁신' 거론된 LH, '주택청' 신설 대안 될까
- LH, 648억원 규모 전관업체 계약 취소…전관 차단 확대
- LH “전관업체 0.5% 설계·감리 독식 사실 아냐”
- 임직원 비위 끊이지 않는 ‘LH’
- LH 전 임원 사직서 제출…이한준 “제 거취 정부 뜻 따라”
- 인추협 “LH, 사랑의 일기 연수원 강제철거…강채린 학생 대표 1인 투쟁”
- “철근만 문제 아냐”…LH 아파트 하자, 5년간 25만건
- LH노조 “철근 누락 사태, 정부의 무리한 공급 강요가 원인”
- LH, 2023년 대한민국 조경대상 대통령상 수상
- [2023 국감] LH·GS건설 수장 국감장 나란히…보상 문제엔 책임공방
- 대우건설, 서울 불광동 신축 아파트 7개 기둥 띠철근 '오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