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IPO 주관 실적…삼성·한투·미래 순
하반기 대어급 등판 ‘관심’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올해 상반기까지 기업공개(IPO) 시장은 조 단위 ‘대어급’은 사라지고 대형 증권사들이 맡은 중·소형주 위주로 흥행했다. 지난해 공모 총액 1위를 차지했던 KB증권은 상반기 한 건의 IPO도 주관하지 못했고,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등 전통강자들은 선방했다. 하반기부터 ‘LG CNS’,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 몸값 1조원 이상 초대어가 출격할 예정으로 증권사들의 기업공개(IPO) 주관 실적 변화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한국거래소 기업공시채널(KIND)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IPO 주관 실적(이전상장 포함, SPAC(기업인수목적회사) 제외)은 삼성증권(1,515억원)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국투자증권(1,401억원), 미래에셋증권(1,263억원), 신영증권(635억), 키움증권(561억원) 등 순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보면 삼성증권은 경쟁사인 한국투자증권(5개사)과 미래에셋증권(6개사)보다 IPO를 주관한 업체 수(3개)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중 공모 규모가 가장 컸던 기가비스(공모금액 954억원)와 같은 알짜배기 기업을 주관하면서 선두를 차지했다. 삼성증권은 그 외에도 올해 상반기 금양그린파워, 지아이이노베이션 상장도 주관했다.
지난해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상장 주관 톱3에서 밀려난 바 있다. LG에너지솔루션 IPO를 대표 주관한 KB증권과 모건스탠리가 지난해 IPO 주관 실적 1·2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 한국투자증권은 IPO 주관을 맡았던 화장품 제조업체 마녀공장의 흥행이 주관 실적 향상에 영향을 미쳤다. 마녀공장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800.47대1, 일반투자자 청약에서 1,265대1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외에 한국투자증권은 나노팀과 오브젠, 제이오, 마이크로투나노 등 알짜배기 중·소형주 상장에 성공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연초 흥행한 스튜디오미르를 비롯해 한주라이트메탈, LB인베스트먼트, 에스바이오메딕스, 모니터랩, 트루엔 등 중·소형 업체 6개사를 코스닥시장에 입성시키는 데 성공했다.
반면 지난해 IPO 주관 선두주자였던 KB증권은 올해 상반기 실적을 내지 못했다.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 상장을 필두로 13조4,479억원의 공모금을 모아 1위를 차지했던 것과 대조된다.
◆ 하반기 ‘대어’, IPO실적 뒤바뀌나
하반기에 대어급 주자가 등판하며 주관사 순위권에 변동이 생길지도 주목된다. 지난 9일 코스피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한 두산로보틱스의 대표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맡는다. 공동주관사는 KB증권, NH투자증권, CS(크레디트스위스)다.
같은 날 코스피 이전 상장 예심을 청구한 NICE평가정보는 대신증권이 주관사를 맡는다. LG CNS의 상장 대표주관사는 KB증권이다. 아울러 지난해 상장을 철회했던 밀리의 서재(미래에셋증권, 이하 주관사)은 지난 1일 상장 예심을 신청했다. 에코프로비엠 자회사 에코프로머티리얼즈(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에 대한 심사도 진행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에는 대어급 기업들이 잇달아 상장 철회를 결정해 중·소형 기업들 주관 실적이 중요했다”면서 “두산로보틱스,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등 대어가 (하반기) 공모 시장을 띄워주길 기대하지만 기준금리 인상, 인플레이션, 글로벌 은행 리스크 확대 등 대외변수 속에서 자금수급이 원활할지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 증권사, 2분기 실적 ‘빨간불’…“역성장 가능성”
- 올해 1분기 국내증권사 순익 ‘90%’ 증가
- 금융당국, 증권사 ‘ABCP→대출’ 전환 유도
- 토스뱅크, 모바일 투자 정보 알림 서비스 시행
- 증권사, ‘주가조작’ 라덕연 30억 재산 가압류
- 투자자 예탁금 '52조'…“증권사 실적 개선 기대감↑”
- 증권사 ‘ELS’ 발행액 최대치 경신…“금리 고점론에 기대 ‘증폭’”
- 케이뱅크, 주식계좌 개설 파트너로 'KB증권' 추가
- 국내 증시 불안…‘예탁금’ 1년 새 ‘15조’ 증발
- 우리금융, 주총 개최…‘임종룡 회장 선임·분기배당 신설’
- 증권사, 신용융자 이자율 인하에 ‘빚투’ 급증
- 증권사, 부동산PF ‘비상’…부실채권 ‘2조’ 경고등
- 입지 흔들리는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충당금’서 희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