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승일 사장 사의 표명
[SRT(에스알 타임스) 김건 기자] 한국전력공사가 2급 또는 3급 이상 고위 임직원들의 올해 임금인상분을 전액 반납하고 성과급도 전액 또는 50% 이상 반납하기로 하는 등 자구책을 12일 공식 발표했다.
한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촉발된 사상 초유의 경영위기를 조기에 타개하고, 경영혁신을 통한 근원적 체질개선을 위해 전력그룹 차원의 다각적인 고강도 자구노력 대책을 확대·시행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다. 창사 이래 최대 규모의 자구계획안이다.
먼저 한전은 지난해 비상경영체제 돌입에 따라 수립했던 전력그룹 재정건전화 종합 계획(5개년 20조1,000억원)에 5조6,000억원(한전 3조9,000억원, 전력그룹사 1조7,000억원)을 추가(약 28%↑)해 2026년까지 총 25조원 이상의 도전적인 재무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설비투자는 건설 시기와 규모를 추가로 이연·조정(1조3,000억원)하고, 업무추진비 등 일상적인 경상경비도 최대한 절감(1조2,000억원)한다.
이와 동시에 정부와 협의를 통해 전력시장제도를 추가로 개선해 영업비용의 90%를 차지하는 구입전력비를 최대한 절감(2조8,000억원)한다.
시설부담금 단가 조정, 발전자회사의 재생e 발전량 예측 정확도 개선 등 수익확대(3,000억원)도 지속 추진한다. 재생e 발전량 예측 정확도에 비례해 전력거래소로부터 지급받는 인센티브를 추가 확보한다.
자산매각은 기존 매각대상 44개에 수도권 대표 자산인 여의도 소재 남서울본부 매각을 포함했다. 이 과정에서 ‘지자체 지구단위계획과 연계한 매각’, ‘제안공모’ 등 혁신적 매각방식을 도입하여 매각가치를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한, 강남 핵심 교통 요충지에 입지한 한전 아트센터 및 10개 사옥의 임대를 우선 추진하고 추가적인 임대자산도 지속 발굴할 방침이다.
조직·인력 효율화는 지난해 8월 수립한 계획에 맞춰 진행 중인데 올해 1월 업무통합·조정 등으로 에너지 공기업 최대 규모인 496명의 정원을 줄였다. 이 외에도 앞으로 예상되는 필수 증가 인력수요 1,600명도 자체적으로 흡수하기로 했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유지해온 행정구역 기준의 지역본부(15개) 및 지사(234개) 구성을 주요 거점 도시 중심으로 조정하고, 지역 단위 통합업무센터 운영을 통한 단계적인 업무 광역화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전 직원이 합심해 2026년까지 조직 구조조정과 인력 효율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진정성 있는 실행을 담보하기 위해 에너지효율 등 미래 핵심사업 및 취약계층 지원 등을 총괄하는 전담부서도 신설한다.
임금 반납은 한전과 전력그룹사 2직급 이상 임직원의 임금 인상분을 전부 반납한다. 한전은 추가로 3직급 직원의 임금 인상분의 50%를 반납하기로 했다.
성과급은 경영평가 결과가 확정되는 6월 1직급 이상은 전액, 2직급 직원은 50% 반납할 계획이다.
여기에 더해 전 직원의 동참도 추진하기로 했다. 다만, 노동조합원인 직원의 동참은 노조와의 합의가 필요한 만큼 이날 한전은 노조도 동참해 줄 것을 공식 요청했다.
한편, 정승일 한전 사장은 이날 '비상경영 및 경영혁신 실천 다짐 대회'를 앞두고 가진 임원들과 화상회의에서 "오늘이 마지막 자리가 될 것"이라며 사장직에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