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국 아파트 평균 응찰자 8.1명, 낙찰가율 74.6%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주택시장과 함께 얼어붙었던 아파트 경매 시장이 활기를 되찾고 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9일에 발표한 ‘2023년 2월 경매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경매 평균 응찰자 수는 8.1명으로 2020년 6월 이후 2년 8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경매 평균 응찰자 수도 8명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10월(2.6명) 이후 점차 늘면서 지난달 들어 크게 증가했다.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건수는 1,652건으로 이 중 547건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33.1%로 전달(36.5%) 보다 3.4%포인트 떨어졌다. 낙찰가율도 전월(75.8%) 보다 1.2%p 낮아진 74.6%를 기록했다. 이는 2012년 8월 이후 10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은 36.1%로 전월(44.0%) 대비 7.9%포인트 하락했고, 낙찰가율은 전달(78.7%)에 비해 1.1%포인트 오른 79.8%를 기록했다.
강남권 아파트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에 낙찰되면서 평균 낙찰가율이 소폭 상승했다.
경기도 아파트 낙찰률은 37.9%로 전월(29.5%) 보다 8.4%포인트 상승했다. 낙찰가율은 71.9%로 전달(73.3%) 보다 1.4%포인트 하락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 보다 2.8명이 늘어난 13.7명으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인천 아파트 낙찰률은 22.4%로 전월(29.2%)에 비해 6.8%포인트 하락하면서 최저치를 경신했다. 낙찰가율 역시 전달(72.8%) 보다 6.4%포인트 떨어진 66.7%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 6월(53.7%) 이후 8년 8개월 만에 최저치다. 반면 평균 응찰자 수는 10.4명으로 전달(8.3명) 보다 2.1명이 증가하면서 2021년 9월(10.2명) 이후 처음으로 두 자릿수를 회복했다.
정책금융상품인 특례보금자리론이 출시되면서 일부 중저가 아파트 위주로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다만,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가 가시지 않아 낙찰가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지방 5대 광역시 중에서는 대전과 울산 아파트 낙찰가율이 상승했다. 대전 아파트 낙찰가율은 73.8%로 전달(70.8%) 대비 3.0%포인트 상승했으며, 울산은 전달(76.7%) 보다 1.8%포인트 상승한 78.5%를 기록했다.
한편, 전월 대비 4.6%포인트 하락한 광주(75.5%)는 2011년 10월(73.7%) 이후 약11년 만에 80%선이 무너졌다. 대구(67.0%)와 부산(72.3%)은 전달 보다 1.9%포인트, 1.7%포인트 하락하면서 각 지역의 역대 최저점을 찍었다.
지방 8개 도 중에서는 경북(76.7%) 아파트 낙찰가율이 전달(67.0%) 보다 9.7%포인트 상승했고, 11개월 연속 하락세를 걷던 경남(79.5%)은 전월(76.9%) 대비 2.6%포인트 반등했다.
강원(84.1%) 낙찰가율은 전달(84.3%)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며 5개월 연속 80%대를 유지했다. 전남(73.3%)은 전월(80.5%) 대비 7.2%포인트 떨어지면서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충북(70.0%)과 전북(77.8%)은 각각 6.2%포인트, 4.9%포인트 낮아졌다.
2건이 낙찰된 제주는 96.2%의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고, 4건이 낙찰된 세종은 69.7%로 집계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