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과 한국 금리인상 기조 지속…은행도 변동금리 비중 줄이려
[SRT(에스알 타임스) 박은영 기자] 최근 주요 시중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는 금융소비자 가운데 70% 이상이 변동금리가 아닌 고정금리를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의 지난달 신규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약 90%가 고정금리를 조건으로 이뤄졌다. 신한은행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9월 67%에 이르렀고, 지난달에는 70%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된다.
몇 달 전만해도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대출자가 많았지만 미국과 한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고 은행들도 변동금리 비중을 줄이기 위해 고정금리를 낮췄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일부 은행에선 변동금리가 고정금리보다 더 높은 역전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고정금리 인기가 높아진 데는 금융소비자들의 '긴축 체감'뿐 아니라 변동금리와의 격차 축소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으로 장기물 채권과 연동된 고정금리는 미래 불확실성 탓에 변동금리보다 높은 경우가 많다. 지난해 4분기 이후 본격적 금리 상승기에 접어들었지만, 최근까지 고정금리가 외면 받은 것도 꾸준히 변동금리를 0.5%포인트(p) 안팎 웃돌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난 11일 KB·신한·하나·우리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코픽스 기준)는 연 5.180∼7.711%, 고정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5.300∼7.273% 수준이다. 하단의 차이가 0.12%포인트에 불과하지만 상단은 변동금리가 0.438%포인트 높다.
다만 내부 금리 정책 등에 따라 고정금리가 아직 0.2∼0.3%포인트 정도 더 높은 일부 은행에서는 아직 변동금리 비중이 더 큰 상황이다.
이처럼 최근 대출자들의 금리 선택 행태가 뚜렷하게 바뀐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기존 대출을 포함한 전체 가계대출 기준으로는 여전히 변동금리 조건 대출이 지나치게 많은 상태다.
아울러 한은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현재 예금은행 가계대출 잔액 가운데 21.5%만 고정금리를 따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정금리 비중이 2014년 4월(23.8%) 이후 8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5대 시중은행의 금리상한형 주택담보대출 판매액(지난해 7월 출시 이후)은 2,598억원(1,202건) 정도다. 최근 늘고 있으나 5대 은행 전체 변동금리 가계대출 규모인 520조2,356억원(10월말 기준 잔액 693조6,475억원×변동금리 비중 약 75%)의 약 0.05%에 불과하다.
- [SR경제&라이프] 안심전환대출, 4일차 ‘4,323억’ 신청
- [SR건설부동산] 서울·경기 4곳만 남고 인천·세종 등 전 지역 해제
- [SR경제&라이프] 10월 가계대출 ‘6,000억’ 감소…‘2004년’ 이후 ‘첫’ 감소
- [SR금융] 카카오뱅크 3분기 순익 ‘787억’ 달성
- [SR금융] 은행권 “가계신용위험 2003년 3분기 이후 최고”
- [SR금융] 4대 은행, 가계 대출 연체액 1조 ‘육박’
- [SR금융] CP금리 금융위기 후 최대치 경신…기업 자금조달 악화
- [SR경제&라이프] 은행 가계대출, 11월 기준 첫 감소
- [SR금융] 은행채 금리 주춤…대출금리 상승은?
- [SR금융] 은행권, 은행채 2.3조원 차환 발행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