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실위험, 수면위 부상”
- “금리인상기, 선제적 리스크 관리 필요”
[SRT(에스알 타임스) 전근홍 기자] 4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액이 올해 들어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로 금융지원(만기연장·이자상환유예) 정책에 잠자고 있던 부실채권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가파른 금리인상에 이자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15일 각 은행 공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가계대출에서 상환이 1개월 이상 연체된 금액은 총 9,216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15.2%(1,217억원) 늘어난 액수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액이 2,774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7.3% 증가하며 최대치를 경신했다. 신한은행은 2,349억원으로, 2.2% 늘었다. 우리은행은 2,305억원으로 20.1% 증가했다. 하나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액도 1,788억원으로 26.4% 증가했다.
◆ 고개 드는 연체액, 부실 본격화?
2019년 12월 1조2,284억원에 달했던 4대 시중은행 가계대출 연체액은 2020년 12월(9,740억원)과 2021년 12월(7,999억원) 등 감소세를 이어왔다. 코로나19 확산세에 만기연장과 이자상환유예 등의 정책 지원 착시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문제는 금리인상이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등 주요 가계대출 금리가 최고 연 7%를 넘어서면서 소득에서 세금을 내고 나면 원리금을 갚지 못하는 대출자가 120만 명에 달할 것이란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가 4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하면서 국내 대출금리 상승 압박은 거세지고 있다. 미국 기준금리는 2008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인 3.75~4.00%까지 올랐다. 한미 기준금리 격차 역시 1%포인트로 크게 벌어지면서 한국은행도 오는 24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10월에 이어 두 번 연속 ‘빅 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을 것이란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최근 채권시장 불안까지 영향을 미쳐 주담대 최고금리가 연 9% 선을 넘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오를 때마다 대출자 전체 이자 부담은 연 3조4,5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면서 “지난해 8월 이후로만 기준금리가 2.5%포인트 인상됐기에 단순계산으로 1년 동안 불어난 이자 부담액은 34조5,000억원에 육박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장금리 역시 상승하게 되고 관련 자금조달비용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대출금리도 상승할 수밖에 없다”면서 “연체액이 급격히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금리상승기인 만큼 (부실위험이 은행과 가계 모두 전이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SR경제&라이프] 시중은행 예금 금리 5% 돌파
- [SR금융] ‘계륵’이던 ‘금리상한형’·‘고정금리’ 주담대 취급 증가
- [SR금융] '변동금리 공포' 은행 주택담보대출 70% 이상, 고정금리 선택
- [SR주간브리핑] ABCP 확대에 증권주 반등…김포에 신도시급 택지 조성
- [SR증권] 정부, ABCP 매입 확대 추진…키움증권 등 주가 7%대 급등
- [SR금융] 금융당국, PF-ABCP 매입에 2.8조 이상 투입
- [SR금융] CP금리 금융위기 후 최대치 경신…기업 자금조달 악화
- [SR경제&라이프] 은행 가계대출, 11월 기준 첫 감소
- [SR금융] 우리은행, 전세대출 금리 최대 0.85%포인트 인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