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경. ⓒ금감원
▲금융감독원 전경. ⓒ금감원

[SRT(에스알 타임스) 김남규 기자] 금융감독원이 카드포인트 소멸을 줄이기 위해 전 카드사에 ‘포인트 자동사용 서비스’를 확대 도입한다. 그동안 일부 카드사만 운영하던 서비스를 전체로 넓히고, 특히 모바일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층(65세 이상)은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신용카드 결제 때 소비자가 미리 지정한 단위만큼 포인트가 자동 차감돼 결제 대금이 줄어드는 방식이다.

금감원은 17일 이용대금명세서와 연계한 ‘포인트 원스톱(One-stop) 사용 서비스’도 새로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명세서에는 소멸 예정 포인트만 표시돼 실제 사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앞으로는 모바일 명세서에서 ‘포인트 사용하기’ 배너를 누르면 즉시 현금화 화면으로 연결되고, 서면 명세서에는 QR코드를 인쇄해 고령층도 전화나 ARS로 바로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사전 안내도 대폭 강화한다. 대부분의 소비자가 명세서를 제때 확인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해 포인트 소멸 1개월 전·1주일 전 문자나 알림톡을 통해 소멸 예정 사실을 재차 안내한다. 금감원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포인트를 놓치지 않도록 사전 안내 체계를 정비했다”고 설명했다.

고령층 대상 교육도 확대한다. 금융결제원과 여신금융협회가 운영하는 ‘카드포인트 통합조회·현금화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고, 금융소비자보호단체와 함께 고령층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늘리기로 했다. 모든 카드사의 포인트를 한 번에 확인하고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서비스지만, 고령층 인지도가 낮아 공익적 교육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개선안은 내년 말까지 카드사 시스템 구축을 순차적으로 마친 뒤 시행된다. 다만 고령층 자동사용 서비스는 소비자 안내 기간을 거쳐 2026년 2월부터 적용된다. 금감원은 “포인트 자동사용과 원스톱 서비스가 정착되면 포인트 소멸이 크게 줄고, 특히 시니어 소비자의 권익 보호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