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RT(에스알 타임스) 전지선 기자] 태광산업이 중국 진출 20년 만에 스판덱스 생산공장 가동을 전면 중단하고 사업을 철수하기로 결정했다. 글로벌 공급과잉과 수요부진으로 최근 3년간 영업손실이 935억원에 달하는 등 적자구조에서 탈피하기 위한 조치다.
태광산업은 30일 이사회를 열고 해외 종속회사인 태광화섬(상숙) 영업 중단을 결의했다고 31일 밝혔다. 오는 8월 중 모든 생산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10월에는 재고판매를 위한 영업활동도 마무리할 계획이다. 연말까지는 매출채권 회수와 직원들의 계약 해지도 마치게 된다. 태광화섬에는 현재 502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태광산업 이사회는 이날 중국법인의 철수를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결의했다. 자금 용도는 결손 누적에 따른 차입금 상환과 운영자금 등이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중국 현지 공장 철수 결정은 추가적인 적자 누적을 막고 주력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라며 “이번 결정을 바탕으로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 발굴에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태광산업은 1979년 국내 최초로 스판덱스 상업화에 성공한 기업이다. 이호진 전 회장이 대표이사를 맡고 있던 2003년 중국법인을 설립해 2005년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하며 해외 스판덱스 생산 거점을 마련했다.
태광화섬은 설립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매출 2조6,143억원, 영업손실 686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최근 3년간 영업손실이 935억원에 달했고 올 1분기에도 72억원의 적자를 냈다.
- 경찰,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 횡령·배임 의혹 본격 수사 착수
- 트러스톤자산운용 "태광그룹, 사실관계 왜곡...신뢰 회복 동참해야"
- 태광산업, 트러스톤 '그린메일 의혹' 금융당국에 진정
- 트러스톤, 태광산업 EB 발행 금지 2차 가처분 신청…'투기자본 악용' 비판도
- 세화미술관 하반기 기획전 노노탁 NONOTAK 개최
- 태광그룹, E-순환거버넌스와 맞손…자원순환·온실가스 감축 나서
- 태광 세화미술관 확장 재개관 기념 '2025 공공미술 포럼' 성료
- 흥국생명, 어르신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교육’ 실시
- “황제보석·보험사 자산 대주주 편취 막는다”…‘이호진 방지법’ 입법 논의 본격화
전지선 기자
jjseon0912@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