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신승호, 이민호, 나나, 김병우 감독, 채수빈, 안효섭(사진 왼쪽부터).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신승호, 이민호, 나나, 김병우 감독, 채수빈, 안효섭(사진 왼쪽부터). ⓒ롯데엔터테인먼트

[SRT(에스알 타임스) 심우진 기자]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이 지난 17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 제작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안효섭, 이민호, 채수빈, 신승호, 나나 그리고 김병우 감독이 참석해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먼저 김병우 감독은 “원작 소설의 매력은 현실과 판타지가 아주 잘 섞여 있다는 점이었다. 나만 알고 있던 소설이 현실이 된다는 키워드가 매력적이었다”며 "관객들이 참여하면서 볼 수 있는 영화였으면 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실과 판타지를 어떻게 적절한 비율로 배분하느냐가 중요했고, 스태프들도 그 부분을 고심했다. 배우도 마찬가지였다. 현실에서 출발해 이야기가 극적으로 흘러가는 상황에서 어떤 애티튜드를 가지고 연기할 것인가에 대해 서로 논의하고 공유하며 해답을 찾아나갔다"고 설명했다.

김 감독은 "각 캐릭터마다 배후성이 존재하는데 모든 배후성을 소개하는게 맞을지 고민했다. 무기의 각색은 원작에서 다수의 캐릭터들이 긴 칼을 사용하는데, 액션의 다양화와 캐릭터를 살리는데 도움이 되겠다는 판단이었다"며 "특히 이지혜의 경우 가장 극적인 순간에 폭발력을 주기 위한 고민으로 변경이 이뤄졌다"며 원작 소설을 영화로 재구성하며 공들인 지점을 밝혔다.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안효섭.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안효섭. ⓒ롯데엔터테인먼트

10년 넘게 연재된 소설의 유일한 독자인 김독자 역의 안효섭은 "처음 대본을 봤을 때 어떻게 영화로 구현될까에 대한 궁금증이 컸다. 지금까지 본 적 없던 스케일이었고, 영화가 가지고 있는 철학에도 관심이 생겼다. 혼자 살아남는 것이 아닌 모두가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는 메시지가 좋았다"며 작품을 선택한 이유를 전했다. 또한 "김독자는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지극히 평범한 인물이다. 연기하는 데 있어 독자의 애티튜드가 맞을까 세심한 포인트들을 감독님과 잡아나갔다"고 밝혔다.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이민호.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이민호. ⓒ롯데엔터테인먼트

10년 넘게 연재된 소설 속 주인공 유중혁 역의 이민호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각자만의 인생의 중요한 가치관, 짐을 지고 살아가는데 이 캐릭터도 다르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시나리오를 묵묵히 클리어해 가면서 독자 같은 인물이 이 세계 안으로 들어와줬으면 하는 희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라며 소설에 등장하지 않았던 독자가 등장하면서 일어날 변화에 대해 궁금증을 더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채수빈.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채수빈. ⓒ롯데엔터테인먼트

유상아 역의 채수빈은 "영화 속 상아는 현실적으로 상황을 받아들이고 판단하는 인물이다. 그 지점이 미워 보이지 않을까 걱정도 했지만 감독님과 함께 논의해 가며 중간 과정을 찾아갔다"라며 캐릭터에 대한 애정을 전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신승호.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신승호. ⓒ롯데엔터테인먼트

이현성 역의 신승호는 "현성은 우직하고 단단한 성향을 가졌다. 크고 단단한 바위 같은 인물이라 외적으로도 강해 보이기 위해 노력했다. 연기자로서 내가 가지고 있는 장점들을 최대한 현성에 녹여내고자 했다"며 압도적 피지컬, 절도 있는 목소리 등 자신의 매력을 캐릭터로 체화했다고 설명했다.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나나. ⓒ롯데엔터테인먼트
▲'전지적 독자 시점' 제작보고회에 참석한 나나. ⓒ롯데엔터테인먼트

정희원 역의 나나는 "제대로 된 액션을 하고 싶었는데, 제대로 할 수 있는 기회를 주셨고, 제대로 했다. 말보다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다 보니 액션이 중요했다. 캐릭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 재미있었다"며 "액션이 나에게 큰 에너지를 주는구나 싶었다. 몸을 쓰니 에너지가 차오르더라. 액션 배우가 되고 싶다"라며 화려한 액션으로 스크린을 휘어잡을 정희원 캐릭터에 대한 기대감을 더했다. 또한 "촬영에 들어가기 전 완벽히 몸에 익고 서로 간 팀워크가 확실해졌을 때 액션 장면 촬영에 들어갔다. 모두가 집중한 덕분에 멋있는 액션 합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며 함께 한 배우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전지적 독자 시점'은 7월 23일 개봉한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