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세미콘 코리아 2025가 개막했다. ⓒ윤서연 기자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세미콘 코리아 2025가 개막했다. ⓒ윤서연 기자

500개 반도체 소부장 기업 참가…2,301개 부스 마련

반도체 기술·비즈니스·인재 육성까지…역대 최대 규모

[SRT(에스알 타임스) 윤서연 기자] 반도체 산업 트렌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세미콘 코리아 2025'가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반도체 생태계를 재편하는 가운데 올해 행사는 코엑스 전관과 추가 공간까지 활용해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된다.

이번 행사에는 500개 기업이 2,301개 부스를 통해 첨단 기술을 선보인다. AMD,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글로벌파운드리, 키오시아 등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뿐만 아니라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TEL, 램리서치, KLA 등 핵심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올해 세미콘 코리아는 'LEAD THE EDGE'를 주제로, AI와 반도체 기술 혁신을 조망하는 다양한 컨퍼런스를 마련했다.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30여 개의 기술 세션이 열리며, 200여 명의 연사가 반도체 제조, 계측, 테스트, 전력 반도체, 사이버보안 등 최신 기술과 시장 전망을 공유한다.

▲조현대 세미코리아 대표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조현대 세미코리아 대표가 1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코리아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윤서연 기자

조현대 세미코리아 대표는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는 국가 간 이슈나 공급망에 대한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의 캐치프레이즈는 '기술을 선도하자'는 것으로 공급망 문제에 대한 솔루션, 기술 혁신에 대한 해결책 등을 공유하는 장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반도체 제조 공정의 미래를 다루는 SEMI 테크놀로지 심포지엄(STS)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이 리소그래피, 소재, 패키징 등 각 공정별 최신 기술을 발표하며 반도체 산업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계측·검사(MI) 포럼에서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에서 계측·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3D 메모리 및 첨단 패키징 솔루션을 중심으로 업계가 직면한 기술적 난제와 해결 방안을 공유한다. 

반도체 후공정 기술 발전에 맞춰 반도체 테스트 포럼도 마련됐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테스트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차세대 테스트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접근법이 논의된다. AI 기반 제조 혁신을 조명하는 스마트 제조 포럼에서는 팔란티어 테크놀로지가 엔터프라이즈 AI를 활용한 반도체 제조 공정 최적화 전략을 발표할 예정이다.

전력 반도체 서밋에서는 SiC(실리콘 카바이드) 및 GaN(갈륨 나이트라이드) 기반 차세대 전력 반도체의 기술적 진보와 시장 전망을 다룬다. 이와 함께, 반도체 산업에서 점차 중요성이 높아지는 사이버보안 포럼에서는 반도체 제조업체를 위한 보안 위협 대응 전략과 글로벌 협력 사례가 소개된다. 

환경 및 안전을 주제로 한 환경안전 포럼에서는 반도체 산업이 직면한 PFAS(과불화화합물) 규제 대응, 탄소 배출 저감, 가상전력구매계약(VPPA) 전략 등이 논의된다. 지속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글로벌 협력 방안도 주요 논점이다.

비즈니스 협력을 위한 포럼도 열린다. 마켓 트렌드 포럼에서는 반도체 시장의 주요 흐름과 AI가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다뤄진다. 인베스트먼트 포럼에서는 한국 기업을 위한 미국 및 베트남 반도체 투자 기회가 소개된다. 올해는 네덜란드 반도체 R&D 협력 세미나가 새롭게 추가됐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과 네덜란드 반도체 기업 간 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구매상담회(SSP)도 마련됐다. 이번 상담회에는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글로벌파운드리, 키오시아, 마이크론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 참가하며, 국내 기업들과 100여 회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될 예정이다.

반도체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인재 육성과 다양성 강화도 주요 의제로 다뤄진다. 전문가 대상 프로그램에서는 반도체 산업 내 엔지니어들이 이공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무 경험과 커리어 개발 조언을 제공한다. 여성 엔지니어들의 경력 개발과 산업 내 다양성 증진을 위한 우먼-인-테크놀로지 세션도 마련됐다. 

반도체 장비 전문가 양성을 위한 반도체 장비 전문가의 길 프로그램은 관련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무 멘토링을 제공하며, 기술 튜토리얼 세션에서는 반도체 제조 6개 공정(Lithography, Deposition 등)에 대한 기초 교육이 진행된다.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관계자는 “AI의 성장세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적인 성장 동력으로 꼽히지만, 그와 동시에 산업에는 더 많은 기술적 요구와 글로벌 협력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세미콘 코리아 2025가 전 세계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이 모이는 자리인 만큼 참여하시는 모든 분들이 새로운 비즈니스 협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사이트를 발견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SR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